아직도 진행형인 ‘제주 4.3’
아직도 진행형인 ‘제주 4.3’
  • 제주매일
  • 승인 2011.03.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3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 있어야”

 아직도 진행형인 ‘제주 4.3’
“4.3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 있어야”

1

 한국현대사에서 지울 수 없는 비극이자 제주도민의 가슴에서 영원히 지워질 수없는 피멍든 한(恨)의 역사, ‘제주 4.3’이 모레면 63주기다. 그래서 제주의 4월은 봄이면서 봄이 아닌 계절이다. 가슴에 삭이고 눈물을 말리며 풀어야 할 해원(解寃)이 아직도 겹겹이 쌓여 있기 때문이다.
 ‘4.3’은 무자비한 국가공권력이 자행한 만행이다. 조상 전례의 땅을 갈아 먹으며, 거친 바다와 싸우며, 오순도순 정겹게 살아온 순박한 도민들에게 이념의 탈을 씌워 살육한 반문명적 ‘국가 학살 사건’이다.
 그래놓고도 그동안 정부는 제주도민의 입에 재갈을 물리고  반세기에 이르는 세월동안 침묵을 강요해 왔다. 지난 2000년 1월 ‘제주 4.3 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제정까지는 ‘4.3’은 누구의 입에도 올릴 수없는 금기어였다.
 특별법이 제정되고 정부의 잘못을 인정하여 대통령이 공식사과가 있었다고는 하지만 ‘4.3’의 해원은 아직까지도 제대로 풀지 못하고 있다.
 ‘4.3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 노력이 시늉만으로 끝나고 있고 아직도 4.3 당시 비극적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2

 그러기에 ‘제주 4.3’은 63년 전에 흘러간 한 토막 역사적 사건일 수가 없다. 아직도 제주도민들에게는 정리되지 않고 상처가 덧나는 현재 진행형이다.
 제63주기 4.3을 맞는 제주도민들의 마음이 더욱 무겁고 더욱 착잡해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4.3의 해원을 풀고 상처를 치유하고 화해와 상생의 길을 닦아야 할 책임이 오늘을 사는 우리들에게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도민들은 4.3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촉구하지 않을 수 없다. 온갖 궁색한 논리를 동원하여 변명을 늘어놨다고 해도 ‘4.3의 원인’은 누가 뭐라 든 ‘무자비한 국가 공권력’이었다. 원인제공자가 문제를 풀어야 하는 일은 당위다. 제주 4.3 문제도 마찬가지다. 정부의 공권력이 제주 4.3의 빌미를 제공했다는 사실은 역사적 진실이다.
 정부가 특별법을 만들어 진상 규명과 희생자들의 명예 회복을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대통령이 나서서 공식적으로 4.3에 대해 사과를 한 것도 ‘4.3 원인 제공자’가 바로 정부임을 인정한 것이다.

3

 그렇다면 4.3 문제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 사안이다. 물론 ‘4.3 특별법’을 제정하고 정부가 나름대로 4.3에 대한 관심을 보였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의 역할이 4.3 희생자 유족이나 도민들에게는 양이 차지 않는 것이다. ‘신발위에서 가려운 발가락 긁는 수준‘ 정도로 감질 날 뿐이다.
 온도민이 원하는 국가 기념일 지정 등 4.3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의지가 실종되고 예산 지원 등 정부의 지원이 미미하고 소극적이기 때문이다.
  정부가 처음에는 의욕적으로 지원해 주겠다던 제주4.3평화공원 조성 사업도 지속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또 있다. 4.3 희생자나 유족들에 대한 추가 신고 작업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희생자 유족이나 후손이 없거나 연좌제 등 잠재적 피해의식으로 지난 2007년 당시 신고가 안됐거나 신고를 꺼렸던 이들이 많다. 이들에 대한 추가 신고를 받아 심사를 하는 것도 ‘4.3 진상 규명과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한 작업이나 다름없다.
 그래서 ‘4.3’은 아직도 진행형인 것이다. ‘4.3’ 63주기를 맞아 정부의 역할을 강조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