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얼굴의 생태환경 보호 정책
두 얼굴의 생태환경 보호 정책
  • 제주타임스
  • 승인 2011.03.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 ‘곶자왈 보호 조례제정'과 ‘대규모 생태 탐방로 개설’

두 얼굴의 생태환경 보호 정책
도, ‘곶자왈 보호 조례제정'과 ‘대규모 생태 탐방로 개설’


1

 제주도의 중산간 생태환경 보호정책이 두 얼굴을 갖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 쪽으로는 보호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다른 쪽에서는 훼손 우려 높은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서다.
 도가 추진하는 ‘곶자왈 보호 조례 제정’ 작업과 역시 도가 시행하는 ‘대규모 생태 탐방로 개설’ 사업은 바로 ‘생태환경 보호’와 ‘생태환경 파괴’라는 한 몸통의 두 얼굴이나 다름없다.
 도는 16일 가칭 ‘제주도 곶자왈 보전·관리 조례안’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대규모 개발행위로 인한 중산간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곶자왈 지역만이라도 우선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서의 ‘조례안’인 것이다.
 제주 곶자왈은 제주 중산간 생태계의 허파이며 각종 오염원으로부터 지하수를 보호하는 지하수 정화필터 역할을 하는 천연생태 정화자원이다.
 그러기에 도가 이번에 곶자왈 보전·관리 조례안을 만들어 곶자왈 지역을 보호하겠다는 것은 뒤늦은 일이나 환영받을 일이다.


2

 그러나 문제는 도의 이러한 ‘곶자왈 보호·보전’ 의지가 한 번 그저 해보는 요식행위로 끝나는 것이 아니냐고 걱정하는 이들이 많다. 그만큼 도의 생태환경 보호 정책이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음이다. 앞에서는 곶자왈 보전 등 생태환경 보호 조례 제정을 운운하면서 실제로는 이에 반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내년 9월 세계자연보전총회(WCC)를 앞두고 추진하는 대규모 생태탐방로 개설사업이 그것이다. 도는 이 행사와 관련해 ‘생태관광 인프라 구축 사업’ 일환으로 50군데의 대규모 생태탐방코스를 개발하기로 했다. 여기에는 국비 170억원과 지방비 111억원 등 281억원이 투입된다. 중산간 지대 숲길이나 생태환경이 비교적 잘 보전되어 있는 지역에 인위적으로 길을 뚫고 인공시설을 만드는 사업이다.
 거액의 국비와 지방비를 투입해 인위적으로 생태환경을 망가뜨리겠다는 발상이나 다름없다. 도가 생태환경보물창고나 다름없는 곶자왈 보전 조례를 만들겠다면서 이처럼 뒤에서는 50군데나 되는  생태탐방코스를 새로 만들거나 정비하겠다는 것은 바로 도의 생태환경 보전 정책의 허구성을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3

 도는 이에 대해 1만여명에 이르는 세계자연보전총회 참가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들을 위한 투어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며칠간 머무는 1만여 참석자를 위해 300억원에 가까운 국민세금을 쏟아 붓고 보존가치 높은 생태환경을 훼손하겠다는 사실을 고백한 것이나 다름없다.
 ‘세계자연보전 총회’는 무엇인가. 말 그대로 생긴그대로의 자연환경을 보전하자고 모이는 회의인 것이다. 인위적 도로개설이나 인공적 시설을 가미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생태환경을 돌아보고 보전대책을 마련하자고 모이는 총회인 것이다.
 그러기에 다소 거칠고 불편하더라도 있는 그대로의 생태환경을 탐방하고 관찰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총회가 의도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들에게는 인위적으로 매끈하게 정리된 도로나 억지로 꾸며낸 인공시설보다는 천연의 속살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자연생태환경과의 만남이 더 뜻 깊고 가치 있는 일일 것이다.
 도의 대규모 생태탐방로 개설 또는 정비 사업은 그래서 다시 한 번 검토해야 할 일이다. 정비사업의 불가피성이 있다고 해도 가급적 생태환경을 덜 다치게 해야 할 것이다. ‘곶자왈 조례’ 제정의 진정성을 얻기 위해서도 그렇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