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 최신형 헬기 해상추락 원인은?
해경 최신형 헬기 해상추락 원인은?
  • 한경훈
  • 승인 2011.02.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고 당시 기상상태 ‘양호’...기장도 베테랑 조종사
제주 해상에서 남해지방해양경찰청 제주항공대 소속 헬기 추락사고와 관련해 24일 제주해양경찰서에서 브리핑이 열린 가운데 송나택 제주해양경찰서 서장이 사고 경위를 설명하고 있다.

23일 응급환자 수송 중 사고를 당한 제주항공대 소속 헬기(AW-139기)는 해경이 보유한 최첨단 응급구조용 헬기다.

이탈리아 ‘아구스타웨스랜드’가 제작한 이 헬기는 순항속도가 시속 260km에 달하고, 3시간의 체공 비행성능을 갖추고 있으며, 구입가격은 대당 200억원으로 알려졌다.

해양경찰청은 2009년 말 AW-139기 2대를 도입, 해상구조 등 국내 적응훈련을 마치고 그 중 1대를 지난 18일 제주항공대에 배치했다.

그런데 신형 헬기가 기상상태도 양호한 상황에서 해상에 추락하면서 사고원인에 대한 궁금증이 높아지고 있다.

24일 제주해경에 따르면 사고해역은 당시 북서풍이 8~10m/s로 불고 파도는 1~2미터 낮게 일었다. 시정도 1.5m로 매우 맑아 기상 악화로 인한 사고는 희박하다는 분석이다.

헬기 조정사도 베테랑도 속한다. 이병훈 기장은 AW-139기 도입을 위해 이탈리아 현지에서 교육을 받았고, 도입 이후에도 이 기종을 1년 정도 운행했다. 이 기장은 200시간 비행기록에 야간구조경력도 6회나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일부에서는 기체결함에 의한 사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AW-139 헬기는 이전에도 국내외에서 사고가 잦은 기종으로 전해졌다.

결국 정확한 사고원인은 동체 인양 이후에나 확인이 가능할 전망이다. 남해해양경찰청은 이번 사고와 관련해 제주해경에 사고대책본부를 꾸리고 사고원인 조사 및 실종자 수색에 나서고 있다.

한편 함정근무 중 고열과 복통을 일으켜 후송되다 헬기 추락 사고로 목숨을 잃은 이유진 순경의 시신은 제주대병원에 안치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