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때 ‘돈되는 사업’으로 각광 받으면서 우후죽순식으로 늘어난 제주지역 각종 복지시설들이 말 그대로 공급과잉에 따른 출혈경쟁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사업의 특성상 복지시설 운영과정에 상당규모의 정부 지원이 이뤄지면서 사업 참여가 잇따라 한정된 지역 내 수요를 초과하면서 업체 간 고객 모시기 경쟁이 본격화 되고 있다.
제주도는 제주지역 노인요양시설이 보건복지부의 권장기준인 노인인구의 2~3%를 초과함에 따라 향후 신규시설을 억제한다고 24일 밝혔다.
제주지역 노인요양시설은 제주시 35곳과 서귀포시 13곳으로 이곳에는 제주시 1720명과 서기포시 685명이 수용돼 있다.
제주지역 사회복지시설은 2007년 26곳에서 지난해 말 48곳으로 22곳이 늘었다.
이에 따라 도내 노인복지지설 입소인원은 2170명으로 시설정원 2405명에 턱없이 못 미치고 있다.
여기에다 현재 2곳(정원 180명)의 노인요양시설이 신축중이며 기존 업체 가운데 2곳(41명)도 증축을 진행하고 있다.
제주도는 이들 사업이 마무리 될 경우 올 연말 제주지역 노인요양시설 정원은 2626명인 반면 입소인원은 2170명에 그쳐 입소율이 82.6%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제주도는 적정수의 노인요양 시설 유지와 사회복지시설 등에 대한 효율적인 예산지원을 위해 앞으로 제주시 한경면지역(1개소)을 제외하곤 신규 요양시설 설치를 제한하기로 했다.
노인요양시설과 함께 운영비 가운데 상당액이 국비 등으로 충원되고 있는 제주지역 영.유야 보육시설 역시 현재 525곳(정원 2만9200명)에 이르고 있으나 현재 이용 아동수는 2만4800명에 그쳐 4000명이상의 공급과잉 상황을 맞고 있다.
도내 보육시설 등 우후죽순...공급초과로 이용객 못 구해 어려움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