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손유원 의원은 “매립장 사용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서 제주시가 추진하는 유기성폐기물 에너지화사업, 폐기물처리시설 추가 확충 등에 차질을 빚고 있다”며 조속한 협상 타결을 주문했다.
손 의원은 또 “가축분뇨는 악취는 물론 수질오염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며 “곶자왈이 양돈장 경영에 이용되는 실태를 파악하고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명만 의원은 “에너지 절약을 위한 추진하는 탄소포인트제에 시민들의 참여가 저조하다”며 홍보 강화방안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신영근 의원은 “환경오염배출업소에 대해 연 1회 지도점검만으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며 “자율점검업소 확대 지정도 재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경진 의원은 제주시가 신제주공영주차장에 주차전용빌딩 건립을 추진하는 것과 관련해 “조성한 지 2년 밖에 안됐고, 주차회전율도 높지 않은 곳에 민간투자사업(BTO) 방식의 주차빌딩을 짓는 것은 주차장 사유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신중한 접근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