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원 간벌, 의타심 버려야 할 때다
감귤원 간벌, 의타심 버려야 할 때다
  • 제주타임스
  • 승인 2011.02.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감귤원 간벌, 의타심 버려야 할 때다


1

 올해는 감귤 풍작이 예상되고 있다. 그 이유가 우선 해거리 현상 때문이다. 지난해는 감귤이 흉작이었으니 금년은 기상 이변 등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풍작을 이룰 것이라는 게 공통된 견해요, 지금까지의 예가 그러해 왔다.
 그래서 올해의 경우는 감귤 재배 농들이 감귤원 간벌에 적극 동참해야 한다. 그동안 입증돼 온 사실이지만 감귤이 풍년이었을 때 간벌과 열매솎기 운동으로 생산량을 조절하면서 품질을 향상시킨 게 가격을 유지하는 데 큰 효과를 보아 왔다.
 그렇다면 풍년이 예상되는 올해에도 간벌과 열매따기로 적정 생산량에 접근하면서 품질을  높여야 감귤처리에 무리가 없을 것이라는 점은 누구나 인식하고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 감귤원 간벌 신청량이 목표량을 크게 밑돌고 있다는 소식이어서 걱정스럽다.
 제주시 경우만 해도 그렇다. 올해 감귤사업 목표량이 230ha다. 하지만 지난달 31일 간벌신청을 마감한 결과 겨우 313농가 163ha에 불과했다. 목표량의 70% 수준이다.


2

 이런 현상은 서귀포시 지역도 크게 다르지 않을 줄 안다. 이래서는 과거에도 그런 예가 있듯이 금년에도 ‘풍작 속의 흉년’을 면하지 못할지도 모른다.
 재배농 까지도 간벌의 필요성을 절실히 인식하고 있는 데, 왜 이와 같은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가. 그 원인 중 가장 큰 것이 재배 농가들의 의타심인 듯하다. 이제까지는 간벌은 물론, 열매솎기 까지도 관주도형으로 진행돼 왔다. 경비를 도민 세금으로 지원해 줬고, 도-시-읍-면-동 할 것 없이 공무원들을 동원, 인력을 도와주었다. 여기에 힘입어 좋은 결과를 가져 왔던 것도 부인 할 수 없다.
 그러나 근년 들면서 제주도는 관주도형, 행정지원 형 간벌-적과 사업이 재배농가 자율 형으로 점진적 정책변화를 꽤하고 있다. 이것은 옳은 정책이다. 간벌과 적과는 어디까지나  재배농의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그에 따른 이익이 전적으로 농가에 돌아가는 것이어서 그렇다.
 그렇다고 올해도 행정지원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지난해 ha당 150만원이었던 행정적 지원액이 50만원으로 줄었고, 앞으로 간벌을 위한 공무원 동원도 자제한다는 방침이지만 그나마 간벌 경비를 작년 대비 3분의 1 수준은 도와주고 있지 아니한가.


3

 만약 지원비가 줄고 공무원 동원이 미흡하다 해서 간벌과 열매솎기를 기피한다면 그것은 재배자 스스로 ‘제 발등을 제가 찍는 격’에 다름 아니다. 그리고 그것은 관(官)과 행정적지원에 의존하려는 하나의 의타심(依他心)으로서 선진 농업, 선진 농민이 취할 사고(思考)도, 행동도 아니다.
 당국은 제주도 전체적으로 올해 감귤 생산 예상량을 66만9000t 전후로 내다보고 있다. 이는 적정 생산량 58만t보다 15%가 과잉 생산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어디 그뿐인가. 감귤이 대풍작일 경우는 생산 예상량이 66만9000t을 훨씬 웃돌 수도 있을 것이다. 간벌과 적과에 손을 놓고 있다가는 감귤대란을 겪을 가능성도 얼마든지 있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은 현재로서는 간벌-적과 이외에 아직 뾰족한 수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이미 1차적으로 간벌신청이 마감되긴 했으나 기간을 더 연장한다니 이에 모든 재배농들이 의타심을 버리고 꼭 동참하기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