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매립, 과거 思考에서 탈피해야
1
제주도가 지금 제3차 공유수면 매립 기본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고 한다. 이를 위해 제주도는 2개 행정 시와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매립지의 수요량을 제출 받고, 제주도의회의 의견 청취과정을 거쳐 오는 5월 중 계획을 확정, 고시(告示)할 예정이라고 한다.
제3차 계획이 아니어도 지난 1990년대 이후 제주도내 바다 곳곳의 상당 면적이 육지로 변해 왔다. 1차 계획기간인 1991년 이후 10년간만 하더라도 20개 사업지구에서 공유수면 67만5500㎡가 뭍으로 변했으며, 2차 계획기간인 2001년 이후 10년 동안에도 1군데 사업지구 8만8000㎡의 공유수면이 역시 육지로 탈바꿈 했다.
다시 말해 1991년 이후 20년 동안만 76만3500㎡의 바다가 인위적으로 매워져 육지가 된 것이다. 제주시 탑동, 도두동, 이호동 등의 바다 매립이 그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정말 상전(桑田)이 벽해(碧海)가 된 셈이다.
2
하지만 이들 매립사업을 놓고 당시 찬반이 매우 심했었다. 유용(有用)하게 활용할 수 있는 토지 면적을 확보한다는 긍정적 의미도 있지만 반대로 바다환경 파괴 등 부작용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탑동의 경우는 벌써부터 월파(越波) 등 큰 피해가 속출하고 있지 아니한가.
2012년부터 2021년까지 10년간 추진될 3차 공유수면 매립사업에서는 제주도내 어느 공유수면, 얼마만한 바다 넓이가 땅 덩어리로 변할지 아직은 알 수가 없으나 지금까지 예로 봐서 꽤 넓은 면적이 다시 육지로 변할 것이다.
그러나 공유수면 매립사업이 과거처럼 마냥 바람직한 사업으로만 평가해선 안 된다. 도리어 지금은 바다 매립 사업에 대해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 어느 때보다 중요시 되고 있는 바다환경의 파괴가 그러하고, 기후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등 과거와 다른 위험 요소들도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면 상승만 해도 그렇다. 제주는, 국가 전체가 바다에 잠기고 있는 몰티브 섬과 더불어 세계적으로도 해수면 상승폭이 높은 곳이다. 아시아 지역만을 놓고 볼 때는 제주도가 대표적인 해수면 상승지역이다, 특히 한반도 내에서는 해수면 상승 속도가 단연 최고다.
3
물론, 제주도 당국은 3차 공유수면 매립 기본계획을 세움에 있어 ‘환경과의 조화’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그런 방향에서 매립지를 이용, 관리할 계획임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그렇더라도 바다환경의 파괴를 면할 수는 없는 일이다.
하물며 향후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영향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는 최대의 과제다. 사실 공유수면 매립사업은 30~40년, 50~60년을 위한 사업이 아니다. 1세기 동안만을 위한 사업도 아니다. 어찌 보면 영구적인 사업인 것이다. 따라서 바다매립과 같은 사업은 50년 정도가 아니라 100년 이상을 내다보면서 계획하고 설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적어도 바다를 땅으로 만드는 사업인데 섣불리 추진했다가는 후일 재앙을 만날지도 모를 일이다.
우리가 바라 건데, 제주도의 공유수면 매립은 항만 확장, 공항 건설 등 지극히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100년 뒤의 제주도 해수면을 고려해야 하고, 날로 황폐화 하고 있는 제주 바다의 환경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바다 매립을 최대한 억제해야 할 이유다. 이제야 말로 공유수면 매립에 대한 유혹과 과거의 사고(思考)를 과감히 떨쳐버리고 새로운 사고(思考)로서 바다를 관리해야 할 때가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