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사실상 현재까지 이어져 온 행정중심의 감귤정책에 일대 변화를 시도해 관심이다.
제주도의 감귤정책이 말 그대로 지원은 하지만 예전처럼 행정이 각종 사업과 관련, 전면에 나서지 않겠다는 입장을 정리했다.
제주도는 대신 생산자 단체의 농․감협의 역할을 중시하는 한편 농가에 대해서도 자율적 책임을 강조했다.
제주도는 이와 관련, 다음 달 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올해 1/2감귤원 간벌 때부터 공무원 동원을 폐지한다고 20일 밝혔다.
제주도는 또 올해부터는 간벌 분위기 확산을 위해 실시해 온 간벌 결의대회와 발대식도 ‘형식적 행사’의 성격이 짙다면서 폐지하기로 했다.
제주도는 특히 감귤원 간벌에 따른 재정지원을 대폭 축소해 지난해까지 100% 전액 보조로 이뤄져 온 간벌사업비의 50%에 대해서만 올해부터 보조하기로 했다.
또 간벌 사업에 대한 지원 단가도 지난해까지 ha당 15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하향조정했다.
제주도는 이날 발표한 ‘감귤산업 발전목표 및 2011년 추진방향’을 통해 지금까지 관주도의 감귤정책을 완전 탈피, 농가의 자율과 자립을 바탕으로 수출확대 등 시장원리에 따른 소비자 우선 정책으로 전환한다고 강조했다.
제주도는 2014년까지 30개 분야에 5111 억원을 투입, 수출 및 가공 산업을 육성하는 등 경쟁력 강화산업을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강대성 제주도감귤특작과장은 “민선 5기 출범을 계기로 감귤산업 전반에 대한 기존의 정책들을 재점검, 농가의 자율참여와 대외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으로 정책전환이 이뤄지고 있다”며 “21일 제주도와 행정시, 농업기술원, 행정시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워크숍을 열어 올해 각 기관별 추진 업무 등을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도, 감귤정책 시장원리로 전환...농가 자율․책임 강조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