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죄 비율 낮고, 법정구속율 높아
무죄 비율 낮고, 법정구속율 높아
  • 김광호
  • 승인 2011.01.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법, 전국 법원 평균의 절반 또는 갑절 '눈길'
제주지법의 무죄 비율이 전국 법원에 비해 아주 낮은 반면 법정 구속율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법 형사 1. 2, 3단독 재판부가 지난 해 2월22일부터 10월31일까지 판결한 각종 피고인은 1771명에 이르고 있다.
특히 이 가운데 무죄가 선고된 인원은 66명으로 3.7%를 나타냈다. 같은 기간 전국 법원 평균 무죄율 8.6%(1만2646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이와 달리 같은 기간 지법의 법정 구속율은 무려 11.7%로 전국 법원 평균 5.5%(8155명)보다 갑절 이상 높았다. 지법에서는 무려 208명이 불구속으로 재판을 받다 법정 구속됐다.
또, 같은 기간 지법 형사합의부의 무죄 판결 비율도 1.8%(3명)로 전국 법원 평균 3%(357명)에 비해 낮았고, 지법 항소심의 무죄 비율 역시 1.6%(9명)로 전국 법원 평균 2%(761명)에 비해 낮았다.
그러나 형사합의부의 법정 구속 비율은 3%(5명)로 전국 법원 평균 5.4%(648명)에 비해 낮았고, 항소심의 법정 구속 비율도 1.1%(6명)으로 전국 법원 평균 1.2%(441명)에 비해 역시 낮았다.
일반적으로 무죄 판결은 검찰이 피고인에 대한 유죄 입증을 제대로 하지 못할 때 나오고, 법정 구속은 불구속 기소된 피고인에 대해 판사가 죄질 및 합의 여부 등을 판단해 실형 선고가 불가피하다고 인정할 때 이뤄진다.
지법의 무죄율이 낮은 것은 그만큼 검찰의 기소가 신중했기 때문이며, 법정 구속율이 높아진 것은 불구속재판원칙의 확대에서 비롯된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한 법조인은 “혹시 징역형에 집행유예도 가능한 피고인을 법정 구속한 사례는 없었는지 나름대로 분석이 필요한 부분”이라며 “만약 그런 경우가 있었다면 전국 다른 법원 판결과의 형평성 차원에서도 문제일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