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곤 섬아트연구소장, 제주문화예술정책연구서서 제언
제주도내 공공문화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문화관련 전문과정과 전문 교육 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해곤 섬아트연구소장은 제주문화예술재단이 펴낸 제주문화예술정책연구서에서 이같이 제언했다.
김 소장은 "문화 인프라 정책은 하드웨어 확충정책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과 인력을 고려한 종합적인 정책 접근이 필요하다"면서 "제주 지역 대학에 문화 유사 학과가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문화관련 전문가 인력 발굴은 물론 지역민들의 문화욕구를 충족 시키주기란 쉽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문화관련 전문과정과 전문 교육인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공공문화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는 행정적 지원이 마련됐을 때 활성화되기 때문에 제주도의 각 기관 내에 공공문화에 대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강 소장은 "공공문화 인프라 시설마다 특성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면서 "어려운 국제행사보다는 도민을 위한 충실한 공간으로 운영되고 거기에 맞는 알찬 행사를 발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제주의 대표적 공공문화시설인 도립미술관의 문화엑스포 개최를 예를 들면서 한 공간에서 문화벼룩시장과 아트페어, 각 분야별 문화박람회 등을 열어 자연스런 지역문화축제를 만들어보는 것도 도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특성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