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실·특혜 채용’ 이제는 그만
‘정실·특혜 채용’ 이제는 그만
  • 제주타임스
  • 승인 2010.11.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가 출자한 공기업과 도 산하기관 인력채용에 대한 불신이 증폭되고 있다. 마구잡이식 특별채용으로 인사의 공정성과 투명성이 훼손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공기업이나 산하기관인 경우는 채용인원 100%를 특별채용 함으로써 ‘도지사 선거 도우미 캠프’라는 비아냥거림이 나오고 있다. 도지사 선거당시 선거캠프에 있었던 인사나 그들과 연결된 사람들로 채워졌기 때문이다.
22일 도가 제주한 행정사무감사 자료를 보면 그렇다. 지난 2006년 7월부터 이달 현재까지 도 출자공기업이나 도 산하 기관 12곳의 신규채용 인력은 423명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18.9%인 80명이 특별채용이었다. 이들 공기업 및 도 산하기관 중 4곳에서는 채용인원 전원을 특채로 뽑았다. 채용인력 절반 이상을 특채로 뽑은 곳도 있고 특채율 23.8%인 공기업도 있다.
이 때문에 특채과정의 공정성과 투명성과 관련한 잡음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특채인력의 자질과 업무수행 능력에 대한 비판도 많다.
공무원을 비롯한 공적기능을 담당하는 공기업이나 자치단체 산하기관 인력채용은 공개경쟁 채용이 기본이다. 다만 특별한 필요에 의해 특별자격 소유자나 특정경력자 등 전문 인력을 우대하는 특별채용 경우는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들도 특별한 경우의 특정 전문분야 인력에 한한다. 정실인사 등 특혜성을 배제한 특별채용인 것이다.
그러나 도 출자 공기업이나 도 산하기관 신규채용 인력은 대부분이 특혜성 정실인사라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는 것이다. 선거에서 도와준 지지자들에 대한 보은인사나 관련 기업이나 단체의 유력인사 입김에 의해 선발되었다고 보아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혜성 특채는 또래 구직희망자들에 대한 박탈감을 심화시키고 공정사회에 대한 불신감을 증폭시키기에 충분하다. 이로 인한 사회계층간 위화감도 문제다. 인사의 공정성과 투명성이 담보되지 않는 조직은 순기능 보다 역기능을 양산해 내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도 공기업과 산하기관 인력채용 제도의 혁신을 촉구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