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nging fairness to the KORUS FTA
Trade Minister Kim Jong-hoon’s confirmation that the U.S. government forcefully demanded revisions to the text of the South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KORUS FTA) during negotiations last week is cause for concern. This confirmation came during a meeting of the National Assembly’s Foreign Affairs, Trade and Unification Committee meeting. Kim also said he intended to “continue discussions toward guiding out an alternative that both sides can accept.” In short, he declared his willingness to accept renegotiations aimed at amending the text of the agreement.
Up until this point,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which has led KORUS FTA negotiations, has responded to popular calls for revisions to provisions disadvantageous to South Korea by steadfastly maintaining that there would be “no renegotiation.” It has also led FTA discussions without consulting National Assembly lawmakers, and relevant groups including the auto, agriculture, and textile sectors.
These calls for removing disadvantages grew in force as the Lee administration agreed to discuss additional demands from the United States. After ignoring all the critical public opinion and revision demands from politicians, however, it immediately complied when the U.S. applied pressure. The Lee administration’s attitude suggests that it will close its ears to domestic demands while acceding to those of the United States. The trade minister says that they are searching for a plan agreeable to both countries, but the formalizing renegotiations is nothing more than a procedure for finding additional ways to make concessions to the United States.
By its nature, a free trade agreement involves amending a number of laws, and the administration should therefore not be handling it independently. It is essential that the demands of interested parties be gathered and reflected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during the negotiation process as well as the final approval procedures. This is why the parliament holds negotiation authority in most nation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Yet, we have not seen once instance of this attitude from the Lee administration. Its method has been to reach an agreement unilaterally and then ask the National Assembly for ratification.
This method is no longer tolerable. The Lee administration has already gone back on its own promises and made one-sided concessions. In particular, Washington is now forcefully demanding an extension to the deadline for tariff abolition on South Korean cars, the complete abolition of the import duty refund system, and the introduction of new safeguards. The last in particular would be completely to the benefit of the United States. Since very few U.S. cars are imported into South Korea, the target could only be South Korean cars exported to the United States. This essentially tells South Korea to give up all it has achieved in auto sector after handing over various other areas, including provisions regarding agricultural products and state-investor complaints.
We cannot have renegotiations restricted to the auto sector alone. It would be a sacrifice of both principle and profit. If we are to have renegotiations, we should bring up all the existing provisions that are disadvantageous to South Korea and renegotiate those. If that is not possible, then we would be better off abandoning the KORUS FTA altogether.
전면 재협상 아니면 한-미 FTA 포기 검토해야
미국 정부가 지난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과정에서 협정문 본문 수정을 강력하게 요구해온 사실이 드러났다.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은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에 출석해 이렇게 밝히고 “상호 수용 가능한 대안을 도출하기 위해 협의를 계속해 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본문을 수정하는 재협상을 수용하겠다는 뜻이다.
정부는 그동안 우리에게 불리한 조항도 수정해야 한다는 국내 여론에 대해 ‘재협상은 없다’며 수용 불가 태도를 고수했다. 특히 정부가 미국의 추가 요구 논의에 응하면서 이런 여론은 더 높아졌다. 그럼에도 정부는 여론의 비판이나 정치권의 수정 요구를 모두 무시하다가 미국이 강하게 압박하자 금방 손을 들고 말았다. 국내의 요구에는 귀를 막고 미국의 요구는 들어주겠다는 태도다. 말로는 서로 합의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다고 하지만 재협상을 공식화한 것은 결국 미국에 대한 추가 양보의 방법을 찾는 절차에 불과하다.
자유무역협정은 기본적으로 많은 법률 개정을 수반하기 때문에 정부가 독단적으로 처리할 수 없다. 최종적인 승인 절차뿐 아니라 협상 과정에서도 국회를 통해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반영하고 수렴해 가는 절차가 필수적이다. 미국 등 대부분의 나라에서 협상권이 의회에 있는 까닭이 그것이다. 그러나 정부는 한번도 그런 태도를 보인 적이 없다. 일방적으로 합의해놓고 국회에 통과시켜 달라는 식이었다.
더는 이를 용인할 수 없다. 정부는 이미 스스로 한 약속을 뒤집으면서 일방적인 양보만 거듭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특히 한국산 자동차에 대해 관세 철폐 시한 연장, 관세환급 제도의 완전 철폐,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처) 도입 등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이 가운데 세이프가드 도입은 미국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장치다. 미국 자동차의 국내 수입 물량이 매우 적어 적용 대상은 미국에 수출되는 한국 차일 수밖에 없다. 이는 우리가 농산물과 국가-투자자 제소 조항 등 다른 여러 분야를 내주고 얻어낸 자동차 분야의 성과를 모두 포기하라는 것이나 다름없다.
자동차에 국한된 재협상은 안 된다. 그것은 원칙과 실리를 모두 잃는 일이다. 재협상을 하려면 우리에게 불리한 기존 조항을 모두 올려놓고 전면 재협상을 해야 한다. 그것이 어렵다면 차라리 한-미 자유무역협정을 포기하는 게 낫다.
[11월 17일 한겨레 사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