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는 세계가 인증한 ‘안전도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설-운수창고업 분야에서 산업재해가 증가하고 있다면 그것은 ‘안전도시’로서 큰 수치다. 안전도시가 되면 산업재해 ‘제로’ 도시를 지향하는 게 옳다. 아니, 설사 산업제해 ‘제로’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증가하지는 말아야 한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제주도내 건설-운수창고업 부문에서 산업재해가 증가하고 있다. 그것도 큰 폭으로 말이다. 솔직히 안전 도시로 지정 받은 제주도의 체면이 말이 아니다.
올해 9월 현재 제주도내 건설 현장의 산업재해자 수는 무려 215명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181명보다 34명이 더 많다. 운수창고업 쪽도 사정은 비슷하다. 같은 기간 37명이 산업재해를 당했다. 전년 22명에 비해 15명이 늘었다.
이러한 건설-운수창고의 산업재해 통계는 짐작치기가 아니다. 적어도 광주지방 고용노동청 제주근로개선지도과의 조사에서 밝혀진 것이므로 믿어도 좋을 줄 안다. 굳이 1년 사이 산업 재해 증가율을 따지자면 전년에 비해 운수창고업은 68%, 건설업은 18%씩이나 큰 폭으로 증가 했다. 안전도시 체면이 어떠한지는 물으나 마나다.
제주근로개선지도과 당국도 안 됐다 싶어서인지 이미 ‘산재취약분야 특별점검’에 나섰다고 한다.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당국은 꼭 기간을 정해서 산업재해 우려지역을 점검할 것이 아니라 상시 점검체제를 갖춰야 한다. 특히 산업현장에서는 당국의 점검이 있든 없든 안전시설을 철저히 갖춰야 하며, 근로자들에 대한 안전 의식과 안전 수칙을 잘 지키도록 교육도 강화해야 한다. 실추된 ‘안전도시’의 체면을 되찾아야 될게 아닌가.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