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양돈산업에 대한 재점검이 이뤄진다.
제주도는 일부 도내 양돈의 돼지콜레라 예방백신 항체양성 반응에 따른 '일번 수출 중단' 등 현안에 대처하기 위해 '위기 수습을 위한 양돈대책협의회'를 구성, 오는 17일 전에 첫 회의를 갖는 등 제주도 양돈산업의 방향을 되짚기로 했다.
또한 위원회의 회의 결과를 밑그림으로 도내 양돈농가가 참여하는 '토론회'도 개최할 예정으로 이번 항체양성반응 사태를 계기로 도 양돈산업의 전반적인 점검과 함께 정밀검사를 위해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보내진 4500여마리 돼지 혈액 검사 결과에 따라서 제주도 양돈정책의 방향전환 마저 점쳐지는 실정이다.
위원회는 문창래 전 농수축산국장을 비롯 김찬홍 전 축산진흥원장, 오 경우 전 양돈축협조합장 등과 강민수 제주대교수. 김재훈 제주대 교수 등 학계, 강용권 제주축협조합장.김용부 남제주축협조합장. 하재관 수출육가공협의회장 등 단체, 탐라유통 및 양돈단체에서 추천한 2명 등 생산자 단체 대표를 합쳐 10명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위원회의 주요 임무를 보면 농가.학계.행정과의 연결고리 역할, 청정화유지 및 가축방향의 나아갈 방향 모색, 제주산 돈육 시장차별화 방안, 축산분뇨의 자원화 강구, 현실에 맞는 양돈정책 방안,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방안, 향후 추진해야 할 사업 모색, 시스템구축 등이다.
이 위원회의 구성 이유에 대해 제주도는 "돼지 콜레라 항체 양성반응이 나오면서 지금까지 정책에 대해 어느 정도 수정은 불가피한 형편"이라며 "도내 양돈 업체 및 농가의 힘을 결집, 재도약 하는 데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김 지사는 13일 "이 달말 확실한 검사결과가 나오기 전에는 아무 것도 속단할 수 없다"면서 "청정 정책을 유지하느냐 아니면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야 하는 지를 충분하게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도는 1998년부터 돼지콜레라와 오제스키병의 예방백신 주사를 하지 않는다고 대내외적으로 천명, 예방백신을 해야 하는 다른 지방과는 차별적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청정지역임을 인정받아 이를 근거로 2000년 이후 4년만에 올해 4월부터 돼지고기 일본 수출길을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