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國監서 드러난 송객수수료의 병폐
[사설] 國監서 드러난 송객수수료의 병폐
  • 제주타임스
  • 승인 2010.10.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번 국정감사를 통해 제주 관광업계의 이른바 송객수수료의 병폐가 어느 정도 심각한지 여실히 드러났다.

사실 제주관광업계의 송객수수료가 문제 돼 온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가히 반세기 가까운 세월 동안 제주관광의 나쁜 이미지로 쌓여 온 것이 바로 이 송객 수수료다.

이 문제는 비단 일반 도민들뿐만이 아니라 관광관련 업계 자체에서도 매우 골치를 앓아온 병폐 중의 하나였다. 그래서 지난해 2월에는 관광협회 주도로 여행사-호텔-사설관광지-유람선-승마장 등 각종 업체 대표들이 회동하고 송객수수료에 대한 세금계산서를 발행, 거래의 투명성을 확보한다는 협약을 맺기까지 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그해 9월에는 다시 업계가 모여 송객수수료 양성화를 위한 개선협약 이행을 다짐 한 바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송객수수료 문제가 크게 개선되지 않은 데다, 이로 인해 ‘바가지 관광’이라는 오명까지 쓰고 있으니 국회가 국정감사를 통해 질타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국정감사에서 지적한 내용들을 도민 입장에서 보면 놀라지 않을 수 없다. 도내 관광관련 업소들이 송객수수료로 판매액의 최저 10%에서 최고80%까지 지불하고 있다니 관광객들은 그만큼 비싸게 상품을 사고 있다는 얘기가 된다.

이를테면 일부 쇼핑업체는 30~60%를, 사설관광지는 10~50%를, 잠수함은 30~60%를, 유람선은 20~40%를 송객수수료 지급한다는 얘기다. 더구나 공연장의 경우는 통상 입장료 수입의 50~80%를 지불하는 모양이다. 배보다 배꼽이 큰 꼴이다. 아마 이점에 대해서는 관광업계에서도 마음속으로는 놀라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다른 지역의 송객수수료는 어떠한가. 서울-경기 등 수도권은 물론, 충청 등 중부 지역, 그리고 강원 등 중북부 지역은 판매액에 대한 송객수수료가 적게는 10%, 많아야 30%선이다. 제주도의 송객수수료가 얼마나 비싼지를 증명해 주고 있다.

올해 국정감사를 계기로 행정당국과 업계는 송객수수료의 투명화를 반드시 이루어 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업계의 자정노력이 있어야 한다. 아무리 행정적 노력이 앞서더라도 업계가 먼저 자정노력을 해 주지 않으면 백년하청(百年河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