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시급한 감귤 신품종 개발과 보급
[사설] 시급한 감귤 신품종 개발과 보급
  • 제주타임스
  • 승인 2010.10.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제 식물신품종 보호동맹’에 가입한 우리나라가 감귤 수입 신품종에 대한 로열티 압박에 직면해 있다. 불과 3년 뒤인 2014년부터 수입되는 감귤 신품종에 대해 엄청난 로열티를 물어야 하기 때문이다.

당국의 전망으로는 재배 농민들이 부담해야 할 신품종 수입 감귤 로열티가 2014년에 약 100억 원에 이른다. 특히 2020년에 이르러서는 그 3배반인 350억 원에 달한다니 감귤재배 농가들의 부담이 매우 무거울 수밖에 없다.

감귤 신품종 수입 로열티에서 해방되는 길은 국내에서 우수한 신품종을 개발, 재배 농민에게 보급해 주는 것이다. 이것이 제대로 안 된다면 감귤 재배를 포기하거나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기존 품종에 의한 힘겨운 경쟁을 벌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감귤 신품종 개발-보급 사업은 제자리에서 맴돌고 있다. 농촌진흥청에 대한 국정감사에 따르면 제주 감귤나무 30% 이상이 1972년 이전에 조성된 노령수(老齡樹)다. 그러나 이를 대체할 신품종개발 보급은 무척 더디다는 지적이다.

물론, 신품종 개발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지난 30여 년 동안 겨우 5종의 신품종을 개발, 전체 감귤 재배면적의 0.28%인 52.5ha에만 보급했다니 그저 맴돌다 만 셈이다.

이러고서는 농민들의 로열티 경감은 둘째 치고 수입개방시대를 헤쳐 나가기가 힘들다. 농업기술 당국은 이 문제를 소홀히 하지 말고 신품종의 다량 개발과 보급에 심혈을 기울이되 그 시기를 한해라도 빨리 앞당겨 주기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