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곽을 드러낸 ‘우근민 도정의 행정조직 개편안‘에 대한 시비가 억세다. 제주의 정체성이나 제주의 브랜드 이미지를 탈색 시키려는 의도가 엿보이기 때문이다. 도의 조직개편 연구용역을 맡은 한국지방행정 연구원이 29일 제시한 중간보고서 내용을 들여다보면 그렇다.
제주도특별자치도 추진단과 국제자유도시 본부, 그리고 해양수산국을 폐지하고 통상협력국을 신설하는 것 등을 골자로 한 조직개편안은 그래서 ‘전임도정의 색깔만 지우려는 졸속 개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제주국제자유도시는 아직도 진행 중인 제주의 브랜드 사업이다. 홍콩이나 싱가포르 등을 능가하는 명실상부한 국제자유도시 건설이 목표다.
그래서 지난 2002년 특별법에 의해 추진되는 제주국제자유도시는 제주의 미래를 선전하는 이미지 브랜드라 할 수 있으며 획기적 제주경제 성장의 포석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제주국제자유도시에 걸 맞는 각종 대형 사업이 진행 중에 있고 역시 대형 프로젝트가 계획되고 있다.
따라서 도의 이번 행정조직 개편안에서 제주국제자유도시 추진 사업을 주관하는 국제자유도시 본부를 폐지하겠다는 것은 이러한 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사업의 우선순위를 뒤로 밀어버리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다. 한마디로 제주국제자유도시 이미지 탈색작업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추진단 폐지도 마찬가지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중앙권한을 대폭 이양 받고 특별법상 각종 제도개선안을 관철시켜 말 그대로의 특별한 자치도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당연히 이를 위한 전담조직이 필요한 것이다. 그런데도 특별자치도 전담조직을 폐지한다고 한다. 특별자치도를 포기하겠다는 선언에 다름아니다.
그리고 제주는 섬이다. 그러기에 바다는 제주의 자원이며 제주사람의 삶의 현장이다. 해양수산국은 그래서 이러한 제주적 환경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행정조직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도 이를 폐지한다고 한다. 이번 도의 행정조직 개편안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나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