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에서 발생하는 응급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선 체계적인 응급의료시스템 구축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과 함께 응급헬기 도입 등 전반적인 응급의료 체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영조 제주경실련 사무처장은 7일 오후 제주도의회 복지안전위원회(위원장 고충홍)가 주최한 ‘제주도 응급의료체계 발전방향 정책토론회’에서 지정토론을 통해 이 같이 말했다.
한 처장은 “제주지역에는 의료시설과 장비, 전문인력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며 “이런 이유로 도내 의료서비스 수준이 도민들로부터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응급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도내 지역응급의료센터가 5곳이 있으나 첨단의료시설과 전문 인력 부족으로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며 “제주도가 운영하는 응급환자 관리체계 역시 매우 미흡하다”고 꼬집었다.
응급환자가 발생했을 때 이송부터 항공예약, 진료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일괄 처리하는 핫라인(원스톱응급의료서비스센터)이 구축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는 또 응급환자에 대한 항공사의 협조체계 미흡, 섬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한 정부의 지원 의지 부족 등을 문제로 꼽았다.
그는 “응급의료체계 확보를 위해 대대적인 개혁이 필요하다”며 “우선 환자와 구급.보건행정, 의료기관, 항공사 간 비상 공조체계를 갖출 수 있는 핫라인을 설치하고 응급의료위원회를 둘 수 있도록 조례를 제정하는 등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응급환자를 후송할 수 있는 응급헬기를 도입하고 장기적으로는 제주지역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각종 지원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이날 정책토론회는 지난 7월 항공기 좌석을 확보하지 못해 애를 태우던 응급환자가 겨우 항공권을 구해 제주에서 서울로 후송되던 중 기내에서 사망한 사건과 관련해 제주도의 응급의료 체계를 재점검하고 행정적 지원과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 등 대책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