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기지가, 실마리가 풀리기는커녕 더 꼬이고 있다.
우근민 지사는 6.2선거 후보 때 해군기지에 대해 희망적인 말들을 했다.
선거 후 재논의를 얘기 했고, 해군-강정주민-도민이 수긍할 해법이 있다고도 했다. 국방장관과 해군참모총장을 만나겠다는 말도 했다.
결국 우근민 후보는 도지사에 당선됐고, 지난 7월 1일 취임했다. 그래서 강정주민들은 물론, 도민들은 우근민지사의 해군기지 해법에 큰 기대와 희망을 걸었다.
아닌 게 아니라, 우근민 지사는 해군기지 해법 찾기의 일환인지는 모르지만 지난번 청와대 시도지사 회의 때는 “범정부적으로 강정해군기지 추진을 위해 적극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다.
물질적인 협조 요청으로 읽힌다.
도의회에서 삭감되기는 했으나 올해 제주도 제1회 추가경정 예산안에는 해군기지 사업예산 58억 원을 편성하는 일도 잊지 않았다.
관할 행정기관인 서귀포시 고창후 시장은 강정마을을 방문, 찬-반 양쪽 주민들의 의견을 들었으며 심지어 해군기지 공사 현장 관리사무소 건축 중단을 명령했다.
이러한 우근민 도정의 행보들이 과연 강정해군기지 해법으로서 해군-찬반측-일반 도민에 이르기까지 수긍할 수 있는 것인지 난해하기만 하다.
도리어 실마리가 풀리는 것이 아니라 더욱 더 꼬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최근 강정 마을회 등 반대단체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해군기지 건설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종전의 주장을 되풀이 하면서 우근민 지사에게 “천혜의 경관을 파괴할 해군기지 예정지내 절대보전지역 해제 조치를 철회하라”고 요구한 것은 지금까지의 투쟁 목표에 추호도 변화가 없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해군기지에 관한 한, 정부가 후퇴하거나 강정주민들이 상응한 인센티브를 수용하는 등 획기적 변화가 없는 한 현재로서는 방책이 오리무중(五里霧中)이다.
이런 상황에서 누이 좋고 매부 좋은 묘책이 과연 나올 수 있을지 의문이다.
현재와 같은 진퇴유곡(進退維谷) 속에서 우리가 바라는 것은 어떤 일이 있더라도 불행한 사태는 없어야 한다는 점이다.
서로 아무런 양보도 없이 국방부는 해군기지를 강행하고 강정주민들은 결사(決死) 항쟁한다면 돌아오는 것은 충돌이요 충돌은 희생을 낳게 마련이다.
세월이 해결해 줄 바 아니라면 조속히 해결책을 마련, 불행한 사태를 예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