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개주민들 "내년까지 이설"-제주시 "2016년까지 존치"
쓰레기매립장 사용을 놓고 제주시와 봉개동 주민들의 갈등이 장기화되고 있다. 18일 제주시에 따르면 봉개동 주민들이 인근에 있는 ‘회천 위생매립장’을 내년까지 이설을 요구해 진통을 겪고 있다.
회천매립장 이설 주장은 당초 매립장 설립 때 제주시가 제시한 ‘10년 사용’이 빌미가 돼 2002년부터 되풀이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회천매립장 사용가능 연한이 앞으로도 5~6년 정도 된다는 점이다. 제주시의 타당성 조사 결과 회천매립장은 2016년까지 매립이 가능하다.
소각장 시설과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을 별도로 설치한 데다 쓰레기 재활용도 늘어 매립 물량이 당초 예상보다 적었기 때문이다.
제주시는 이에 2016년까지 매립장 존치를 희망하며 지난해 11월부터 주민 대표들과 협상을 벌이고 있으나 양측의 입장차가 커 아직까지는 소득이 없다.
주민들은 “그동안 행정의 보상 약속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며 유리온실 및 저온창고 등 주민숙원사업(110억원 규모) 지원과 7명 정도의 매립장 감시요원 배치 등 실질적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에 제주시는 매립장 매립 종료 시까지 매년 10억원 지원과 관련조례에 따라 감시요원 3명 배치를 제시하며 협상에 임하고 있다.
이처럼 매립장 사용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서 당장 제주시가 회천매립장에 추진 계획인 유기성 폐기물 에너지화사업이 차질을 빚을 우려를 낳고 있다.
총 사업비 247억 이상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 사업은 음식물쓰레기 혐기성 소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로 발전기를 돌려 2MW/h의 전기를 생산하는 것으로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악취 방지와 그의 안정적 처리 등이 기대된다.
제주시는 이 사업의 실시설계 용역을 이달 중 발주할 계획이지만 주민들이 음식물처리시설도 동시 이전을 요구하고 있어 사업을 진행시키지 못하고 있다.
결국 매립장 사용문제가 매듭지어져야 음식물쓰레기 에너지화 사업의 추진도 가능한 셈이다.
제주시 관계자는 “현실적인 주민숙원사업 지원안을 마련해 주민들과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회천매립장 사용과 관련한 협약을 조기에 이끌어 내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