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발전단계에서 각급 사회단체의 역할은 중요하다. 그들의 뭉쳐진 힘은 사회통합의 밑거름이 되고 사회공동체 구성의 중요한 축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래서 중앙정부나 지방정부가 이들 건전사회 단체 육성에 신경을 쓰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지 나무랄 일은 아니다. 재정능력이 허용된다면 이들 사회단체를 지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각급 사회단체가 사회발전을 위한 봉사조직에서 벗어나 개인취미생활 동아리나 친목모임까지도 국가나 지방정부가 재정지원을 해야 하는 지는 심각한 고민이 필요하다.
현재 수많은 도내 사회단체는 비영리 공익 봉사활동을 표방하면서도 실제는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선거용 예산 지원 단체라는 비판이 나왔던 이유다.
도가 올해 결정한 사회단체 지원내역만 봐도 알 수 있다. 도는 올해 324개 단체의 428개 사업에 28억8200만원을 지원키로 했다. 이는 당초 59억2500만원을 신청했던 389단체 518개 사업에서 걸러낸 것이지만 그만큼 활동성이 약한 사회단체들이 많았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도의 예산지원을 받게 될 324개 사회단체에 대해서도 사회발전에 필요한 순수한 사회봉사 활동 단체 인지를 다시 한 번 따지고 점검해 봐야 할 것이다. 그들 중에 선거이용 등 특정 목적을 위한 단체는 없는지, 자기부담 능력이 없는 친목단체 등은 없는지 등을 따지고 지난 실적을 분석해봐야 할 것이다. 선심성 또는 낭비성 예산 낭비를 차단하기 위해서도 그래야 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