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케이블카 설치 문제로 한라산 보전정책에 부정적 영향을 주어서는 곤란하다.” 우근민 도지사직 인수위원회가 5일 밝힌 내용이다. 지난 20일간의 활동보고서를 통해서다. 한라산 케이블카 문제의 신중한 접근을 주문한 것이나 다름없다.
그동안 인수위원회는 활동기간 중 우 도정의 향후 개발정책 방향을 ‘보전’쪽에 두었음을 직간접으로 제시한바 있다. ‘개발과 보전의 조화’라는 표현을 썼지만 무분별 개발에서 분별있는 개발을 통해 환경을 보전하겠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한라산 케이블카 문제도 보전 쪽에 무게를 둔 신중한 접근을 주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우 지사 역시 후보시절 “도민여론 수렴 후 신중하게 대처 하겠다”고 했었다.
우리도 이처럼 보전 쪽에 관심을 두는 우 도정의 개발정책 방향을 본란을 통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바 있다. ‘온전하게 보전된 한라산만이 제주다운 제주를 상처 없이 후손들에게 물려줄 아름다운 유산’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라산 케이블카는 안 된다”는 입장을 계속 고수했었다.
이런 이유로 우근민 도정의 보전에 힘을 실어주는 ‘개발과 보전의 조화’라는 개발정책 방향에 지지를 보냈던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그동안 제주도가 실시했던 용역조사에서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는 경관훼손 등 환경적으로 부정적 평가가 내려졌었다. 환경부에서도 이러한 이유로 지난 2004년에는 제주도의 한라산 케이블카 설치 신청을 반려하기도 했었다.
그런데도 지난해 환경부에서 국립공원 규제 완화가 추진되자 도가 또 다시 한라산 케이블카 타당성 검토에 착수함으로써 또다시 찬·반 논란의 빌미를 제공했다.
한라산 케이블카 문제는 지난 40여년간 제주도민의 여론을 찬반으로 갈리게 했던 악성 바이러스나 다름없었다. 이제는 40여년을 끌어온 장기적 논란의 빌미를 정리할 때가 됐다.
환경보전을 중시하고 친환경 개발을 지향하는 우근민 도정에서 이 문제를 명쾌하게 정리할 수 있어야 한다. ‘신중한 접근’이니 ‘도민여론 수렴’이니 하는 정치적 수사(修辭)를 뛰어넘어 ‘한라산 케이블카 논의 중단’을 선언해야 한다. 그래야 임기 4년을 소신껏 제주발전에 기여할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