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도 새로 출범하는 우근민 도정의 큰 걱정거리 중 하나가 제주도의 빚더미일 줄 안다. 올해 말이면 예상 되는 제주도 총 부채가 1조732억 원에 이른다니 그럴 만도 하다. 지방채 8295억 원에 상환 이자만 2437억 원이라는 얘기다.
제주도는 서울이나 경남북처럼 인구가 많고, 땅이 넓은 곳이 아니다. 기껏해야 비좁은 땅과 아직은 60만 명도 안 된 인구를 갖고 있는 섬이다. 다른 큰 지방들이 중산층 이상 부유층이라면 제주도는 영세민에 속한다. 그것도 엄청난 빚만 져 있는 가난한 빈곤층이다.
우근민 도정은 앞으로 덩치 큰 빚을 줄이기 위해 고심과 궁리를 함께할 것이다. 수익사업도 구상할 것이요, 세금 류인 각종 공과금과 수수료 등을 올릴 방안도 검토할지 모른다.
그러나 이런 것들은 상책(上策)이라고만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수익사업이 바람직 하지만 아차 잘못하면 귀중한 세금만 쏟아 붓는 꼴이 될 수가 있다. 미국에 진출한 호접란 사업의 결과가 어떠했는지를 우근민 지사 자신이 잘 알고 있지 않은가. 세금, 공과금, 수수료 등의 인상도 썩 바람직하지 않다. 도민들에게 피해가 가기 때문이다. 물론 꼭 필요한 인상까지 하지 말라는 것은 아니다.
우근민 도정의 재정건전성을 위한 요체(要諦)는 바로 절약이다. 지출을 과감히 줄이라는 얘기다. 전시성, 인기 영합성, 외유성, 서비스성, 낭비성 경비와 방만한 민간 보조금, 실효성 없는 불요불급한 시설물 투자, 이런저런 명분의 행사비 지원 등 지출을 줄일 요소들이 곳곳에 지천으로 깔려 있다.
제주도청내부의 일부 기구 및 도 지원 각종 단체-위원회 등의 통폐합도 예산 절약에 많은 도움이 될 줄 안다. 기초 자치단체 부활 보다는 두 개 행정시를 폐지, 3단계 행정 구조를 도-읍면동으로 2단계화 하는 것도 지출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방책이 될 것 같다. 영세민이 견뎌 낼 길은 절약만큼 한 것이 없다. 광역자치단체인 제주도 역시 예외가 아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