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며칠 전 본란을 통해 우근민 도지사 당선자가 후보시절부터 중점적으로 강조해 온 도민의 대통합, 화합, 갈등해소를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공평무사(公平無私)한 공무원 인사와 상대 후보에 줄 서기한 지도층들의 포용이라는 점을 강조 한 바 있다. 그리고 이 밖에도 우근민 당선자가 도민 대통합을 위해 해야 할 일이 여럿 있음도 지적했었다.
바로 이익단체 포용도 그중 하나다. 일부 이익단체들이 어느 후보는 싫고 좋다는 등 노골적이고도 공개적으로 밝힌 것은 지도층 줄서기와 함께 6.2지방선거의 흠이었다.
무슨 무슨 이익단체들의 이름을 내세워 우근민 현명관 후보를 지지한다거나 반대한다는 등의 기자 회견이 연일 쏟아졌다. 이런 와중에 “우리는 어느 후보의 지지-반대에도 동의한 적도, 서명한 적도 없다”며 기자회견한 집행부측에 항의하는 일도 없지 않았다.
특히 아름답지 못한 것은 이른바 ‘학문의 전당’에서 학문을 한다는 일부 교수들이 30~40여 명씩 떼를 지어 우근민, 혹은 현명관 후보를 지지한다거나 반대한다는 기자회견을 연 점이다. 아마도 이에 대해서는 학내(學內)에서도 시시비비가 있었을 줄 안다.
이렇듯 6.2선거는 일부 이익단체 및 학자들까지 두 파로 갈라놓았다. 이 갈라진 파벌들을 어떻게 통합 시킬 것인가가 우근민 당선자의 또 다른 과제다. 통합이나 화합은 자파(自派)만을 옹호해서는 결코 성공할 수가 없다. 반대파를 포용할 수 있을 때 그것은 가능하다.
우근민 당선자는 이미 승자가 되었다. 자신을 반대하던 이익단체들과 학자들을 어떻게 이해시키고 끌어 들이느냐에 ‘우근민 대통합’의 성패가 달려 있다.
우근민 당선자는 이번이 마지막이라고 했다. 점수 따는데 급급하지 않겠다고도 했다. 하지만 인기에는 영합하지 않더라도 도민으로부터는 점수를 따야한다. 그러려면 자신을 반대하는 쪽에 대한 통 큰 소통이 필요하다.
그렇게 해야 만이 20년 가까이 고질화 되어온 제주도민의 분열상을 치유할 수가 있다. 5대에 걸쳐 도지사직을 수행 하게 된 우근민 당선자야말로 마음만 비운다면 이 어려운 일을 풀 수가 있을 것이다.
만약 우근민 당선자가 이일에 실패한다면 제주도는 사분오열(四分五裂)의 구렁텅이에서 헤어 나올 수가 없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개방형 행정시장 임명은 그 첫 단추로서 중요한 척도가 될 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