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근민 도지사 당선자는 6·2지방선거를 통해 ‘도민 통합’ ‘도민 화합’ ‘도민갈등 해소’ 등을 유난히 강조해 왔다. 선거기간만이 아니라 당선된 뒤에도 그것은 마찬가지였다. 그만큼 우근민 당선자 자신이 도민간의 갈등과 분열, 불협화가 위험 수위에 이르렀음을 뒤 늦게나마 깨달은 듯하다.
따라서 우근민 도지사 당선자가 취임 후 가장 먼저 중점적으로 실천에 옮겨야 할 일 중의 하나가 ‘도민 대통합’ 작업이다. 이 ‘대통합’ 작업을 위해서는 몇 가지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있다. 그리고 그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근민 당선자의 용기와 용단이 반드시 필요하다. 만약 그렇지 못하면 우근민 당선자의 ‘뒤 늦은 깨달음’은 있으나 마나한 것이 되고, 도민의 분열과 갈등은 지금보다도 더 심해질지도 모른다.
도민 대통합을 위해 우근민 당선자가 용기를 갖고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공평무사(公平無私)한 공무원 인사다. 줄 세웠거나 줄 선 공무원에게는 감사한 마음은 갖되 인사에는 결코 반영하지 말아야 한다. 심지어 줄 세웠거나 줄선 것을 인사의 참고자료로도 삼지 말라.
오로지 능력과 실력, 연공서열, 성실성 등을 종합해 승진-전보 등의 인사를 하라는 얘기다. 같은 값이면 이쪽에도 저쪽에도 줄 서지 않고 ‘공무원 중립’의 원칙을 지킨 외로운 모범 공무원을 발탁, 승진시키는 명인사(名人事)를 과감히 단행해 보라.
솔직히 말해 제주도의 파벌은 도지사 민선 이후 후보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신파(愼派) 우파(禹派)라는 신조어가 유행할 정도였고, 공무원의 선거운동 개입 혐의로 신임 도지사가 검찰의 수사를 받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공무원 줄서기에 관한한 그 책임은 민선지사 3명에게 귀착될 수밖에 없다. 이 점에서 우근민 당선자도 공무원 줄서기와 파벌 조성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가 없다. 우근민 당선자가 네편 내편 없이 공평무사한 인사로 공무원 줄서기를 뿌리 뽑고, 파벌을 없애야 할 이유다. 임기 중 줄선 공무원이 대접받는 인사가 계속된다면 ‘대통합’은 뜬 구름일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