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제주에서 실시된 6.2지방선거는 선거 같지 않은 선거였다.
집권여당 한나라당 후보는 공천권이 박탈되자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그것은 제1야당도 비슷했다. 민주당 공천 경선을 벌이던 인사가 도덕성 문제로 버림을 받자 역시 무소속으로 출마 했다.
특히 희한한 것은 한나라당은 당 차원에서 공천권을 박탈한 무소속 후보를 공식적, 노골적으로 지원했고, 민주당 또한 상당수의 당원들이 중앙당이 공천을 배제한 무소속 후보를 지원함으로써 양분되는 기현상을 보였다.
집권여당과 제1야당부터가 선거판을 혼란스럽게 만들어버리자 갈피를 못 잡은 것은 도민들이었다.
이러한 와중에 후보들마저 성희롱-금품살포 문제에 휘말렸고, 운동원끼리도 비방전이 치열했다.
특히 공무원 줄 세우기와 줄서기도 극심했다. 눈꼴이 사나울 정도였다. 오죽했으면 전교조까지 “그러면 안 된다”고 경고했겠는가.
각종 이익단체들마저 후보들을 겨냥해 “사퇴하라”느니, “지지” 혹은 “반대”한다는 등의 회견으로 선거판을 더욱 혼탁하게 만들었다.
정당, 후보, 공무원, 각종 이익단체들이 이렇듯 선거운동 기간 내내 줄을 서거나 상대를 향해 삿대질을 해 댔으니 일반 도민들도 그들 따라 사분오열(四分五裂) 할 수밖에 없었다.
더구나 6.2선거는 한꺼번에 도지사-교육감-도의원-교육의원 등을 선출해야 하기 때문에 선거운동으로 인한 감정의 골은 더욱 깊어졌을 것이다.
그러나 선거는 선거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선거기간 치열한 경쟁을 벌였지만 일단 당락이 결정됐으니 모든 갈등을 지워버리고 평상심(平常心)으로 돌아가야 한다.
운동원이든 일반도민이든 선거기간의 좋고 나쁜 감정들이 궁극적으로는 훌륭한 일꾼을 뽑으려다 벌어진 일로 이해해야한다.
그래서 당선자든, 낙선자든, 일반 유권자든 선거의 상채기를 치유해야 한다.
이것이야말로 급선무다. 그러할 때 모두는 승리자가 될 수 있고 도민이 화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