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administration cannot afford to sacrifice inter-Korean relations
Lee administration cannot afford to sacrifice inter-Korean relations
  • 제주타임스
  • 승인 2010.05.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has reportedly decided to terminate all projects that are currently conducted by government ministries with North Korea. Prior to this, the Lee administration virtually told private companies engaged in processing by commission trade with North Korea to halt their operations. The Lee administration’s stance seems to be that they are willing to sever every slim thread connecting North Korea and South Korea, using the Cheonan disaster as a pretext.
Regardless,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have greatly decreased since the launch of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e Lee administration has suspended rice and fertilizer aid and blocked most private aid. Th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fund, 70 to 80 percent of which had been used each year, saw less than 10 percent of its funds used last year, or about 100 billion Won ($86.77 billion) of 1.12 trillion Won. So far this year, only about 1 percent of the fund has been spent. The Lee administration has now been moving to completely suspend North Korean projects and trade conducted, with difficulty, at the government ministry and private levels. The Kaesong Industrial Zone and some humanitarian aid for North Korea’s most vulnerable were exempted, but in this atmosphere, the future of even those projects are uncertain.
A greater concern is that the full-scale suspension of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is becoming a part of a full-scale hardline assault on North Korea. Conservative groups friendly to the Lee administration have been demanding as measures to follow the announcement of the investigation findings into the sinking of the Cheonan the restart of loudspeaker broadcasts along the front line, ending permitting North Korean ships to pass through the Jeju Straits, displays of force against North Korea and suspending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project. The Lee administration, which depends on these groups, seems to have given up maintaining inter-Korean relations at even a baseline level.
The Lee administration’s moves have continued along the path of building hostile inter-Korean relations. The relations experienced ups and downs before the mid 1980s, wh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did not recognize each other’s existence and confronted one another over each and every incident. This is a structure in which the nation must pour its national strength into conducting the diplomacy of confrontation while the base of inter-Korean relations, built up over the last 20 years, crumbles and tensions become the norm. Needless to say, as a result of these policies, security will only become weaker.
The government’s hardline attitude is largely the product of a firm belief that North Korea must have been the one who sank the Cheonan. Political considerations ahead of the June 2 regional elections may also be at play. In the end, however, continuing along this hardline path without clear evidence that the Cheonan was sank by the North Koreans will only cause irreversible damage to South Korea and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the Lee administration should know that it will pay a greater price if it thinks nothing of turning inter-Korean relations into a sacrifice.

‘적대적 남북관계’로 돌아가려는 이명박 정부

정부가 부처별로 하고 있는 대북 사업을 모두 중단하기로 했다고 한다. 앞서 정부는 대북 위탁가공 교역을 하는 민간업체들한테도 사실상 사업을 포기하라고 압력을 가한 바 있다. 천안함 참사를 빌미로 남북을 잇는 가느다란 끈마저 모두 끊겠다는 태도다.
그러잖아도 남북 교류·협력은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크게 위축돼왔다. 정부는 대북 쌀·비료 지원을 중단한 것은 물론이고 민간 차원의 지원 역시 대부분 막았다. 해마다 70~80%가 집행된 남북협력기금이 지난해엔 1조1182억원 가운데 10%도 안 되는 1000억여원만 쓰였을 정도다. 올해도 지금까지 1%의 협력기금만 지출됐다. 이런 와중에도 어렵게 이뤄져온 정부 부처와 민간 차원의 대북 사업과 교역을 이제 완전히 중지시키겠다는 것이다. 개성공단 사업과 북한 취약계층에 대한 인도적 지원 일부만을 예외로 뒀지만 지금 분위기에서는 이 역시 전망이 불투명하다.
더 우려되는 것은 이런 전면적인 남북 교류·협력 중단이 강경한 대북 공세의 일부분으로 이뤄지는 점이다. 친정부 보수세력들은 천안함 조사결과 발표 이후 나올 대북 조처에 전방 확성기 방송 재개, 북한 선박의 제주해협 통과 불허, 대북 무력시위, 개성공단 사업 중단 등을 포함시킬 것을 요구한다. 이들에 기댄 정부는 그나마 남북관계를 일정 수준으로 관리하려는 노력조차 포기한 듯하다. 정부 태도는 대북 전단 살포를 위한 우익단체의 19일 백령도 집회를 승인한 데서도 잘 알 수 있다.
정부의 지금 움직임은 적대적 남북관계를 구축하려는 것과 다를 바 없다. 남북이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사사건건 대립했던 1980년대 중반 이전으로 되돌아가려는 것이다. 지난 20여년간 구축해온 남북관계의 토대가 허물어지고 긴장이 일상화하면서 대결 외교를 벌이느라 국력을 쏟아부어야 하는 구도다. 안보 측면에서도 더 취약해질 수밖에 없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지금 정부의 강경 태도에는 ‘북한이 아니면 누가 천안함 참사를 저질렀겠느냐’는 심증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선거를 앞둔 정치적 고려가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엄밀한 증거 없이 북한 소행으로 단정해서는 우리나라와 한반도 정세에 되돌릴 수 없는 피해를 줄 뿐이다. 특히 손쉽게 남북관계를 희생물로 삼아서는 이후 더 큰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사실을 정부는 알아야 한다.

[한겨레 사설 5/17]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