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지방선거가 26일 앞으로 다가섰다.
선거일이 가까워지면서 선거운동 열기 또한 뜨거워지고 있다.
그래서인지 자기 정책을 통한 득표활동보다는 남을 깎아내리는 네거티브방식 선거운동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상대의 말꼬리를 물고 늘어지거나 비판 일변도의 선거운동은 정책선거를 실종시키는 주범일 수밖에 없다.
4일 제주도선거관리위원회가 오는 6·2지방선거에 출마하려는 도지사 예비후보와 교육감 예비후보를 참여시켜 ‘매니페스토 정책선거 실천 협약식’을 가진 것도 정책대결을 통한 공명선거를 실현하기위한 조치다.
이날 도지사 선거 예비후보 5명과 교육감 선거 예비후보 3명 등 8명은 ‘정책선거를 실천하겠다’는 협약서에 서명하고 이를 도선관위에 제출했다.
이번의 매니페스토 정책선거 실천 협약‘은 각종 연고주의에만 의존하려는 선거운동 행태에서 벗어나겠다는 각오를 피력한 것이나 다름없다.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한 허황된 공약이나 선심성 공약 남발보다는 실현 가능한 정책을 제시하여 유권자들의 심판을 받겠다는 약속인 것이다.
이렇게 정책을 내놓고 정책의 실현여부를 점검하여 유권자들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해 주자는 것이 매니페스토 운동인 것이다.
따라서 유권자인 도민들은 이날 ‘정책선거 실천 협약’에 서명을 한 도지사 및 교육감 예비후보들이 발표하는 공약정책을 꼼꼼히 따져보는 유권자 의식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특히 특정인이나 시민사회단체 또는 각급 이익단체에서 개인 또는 조직 이익과 관련한 정책을 후보들의 공약으로 채택하라는 식의 압력을 넣어서는 아니 된다.
이익단체나 특정 조직의 희망사항을 모두 정책공약으로 강제하려는 것은 엄밀한 의미에서 정책선거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 아닐 수 없다.
그러기에 깨어있는 도민의식은 정책선거 정착여부를 판가름 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될 수밖에 없다. 도민들이 거듭 거듭 곱씹어야 할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