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6·2지방선거를 앞둔 도지사 예비후보들과 일부 정당의 ‘4·3’에 대한 ‘유별난 관심’에 주목해 왔다. 지난 8일, 4·3희생자 명예훼손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제주지방법원이 4·3유족회의 손을 들어주자 즉각 거의 모든 도지사 예비후보들이 뒤질세라 경쟁하듯 환영의 성명을 발표했다.
특히 우리는 그 사흘 뒤인 11일 한나라당 제주도당 공천심사위원회가 4·3유족회에 “도의원 비례대표 1번의 추천권을 위임 하겠다”고 밝히자 그 결과를 예의 주시해 왔다. 아니나 다를까 유족회 측은 이를 거부 했다. 이유는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할 유족회의 정신을 훼손하는 일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아울러 유족회는 “설령 민주당 등 야당이 같은 제안을 하더라도 거절 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우리는 4·3유족회의 이러한 입장을 높게 평가한다. 4·3의 원혼들을 생각해서라도 유족회는 정치에 오염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솔직히 말해 이번 한나라당이 유족회에 비례대표 1번 추천권을 주겠다고 한 것은 큰 실수였다. 물론 한나라당의 참 뜻이야 그런 게 아니었겠지만, 혹시라도 비례대표 1번과 유족 표를 교환하려 한다는 오해의 소지가 충분히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버린 결과다.
모든 후보들이 유족회 손배소 승소에 앞 다투어 환영 성명을 낸 것이나, 한나라당이 비례대표 1번 추천권을 유족회에 위임하겠다고 한 것이 아무리 본뜻이 좋다 하더라도 오해 살 일은 삼가야 한다. 그리고 앞으로 여든 야든 4·3유족회를 정치에 오염시켜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