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마 전용도로 ‘마로’ 건설 추진
승마 전용도로 ‘마로’ 건설 추진
  • 좌광일
  • 승인 2010.04.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 중산간ㆍ해안 일대에…환경훼손 우려도

‘말의 고장’인 제주의 특성을 살려 한라산 중산간과 해안 지역에 승마 전용도로인 관광마로(馬路) 건설사업이 추진된다.

제주도는 관광마로 건설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한다는 방침이지만 400억원에 이르는 막대한 예산 확보 방안과 함께 마로 건설과정에서 중산간 일대의 환경훼손 논란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제주도는 마산업을 관광레저스포츠산업과 연계한 ‘녹색뉴딜’ 사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마사회, 생산자단체, 연구기관, 공무원 등 11명이 참여하는 마로건설 태스크포스팀을 구성, 마로 건설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태스크포스팀은 지난 1월 제주관광대학 관광레저스포츠개발센터가 제출한 마로 건설 타당성 조사용역보고서를 토대로 친환경적인 마로 건설 및 사업비 확보 방안, 연차별 추진 계획, 말 산업 발전 계획, 마로의 관광 자원화 방안 등을 검토한다.

당시 용역보고서는 사업비 400억원을 들여 기존 임도구간 54㎞와 신설구간 89㎞ 등 14개 구간 총연장 143㎞, 폭 6m의 마로 건설을 제시했다.

구간별로 예상 마로는 ▲거문오름~와흘리한우단지 6㎞ ▲와흘리한우단지~봉개승마장 5㎞ ▲봉개승마장~삼의악 6㎞ ▲의귀리목장~가시리목장 6㎞ ▲가시리목장~표선해수욕장 11㎞ ▲표선해수욕장~영주산 10㎞ ▲영주산~거문오름 9㎞ ▲사려니 숲길 입구~남원읍 15㎞ 등이다.

여기에 구간별로 모두 13곳에 말을 계류하거나 승마객이 쉴 수 있는 터미널이 조성된다.

하지만 마로건설 사업이 중산간지역 임도를 연결하거나 신설해 143km 규모의 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대규모 토목공사로 인한 중산간 초지와 임야 훼손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 환경훼손 논란이 불거질 전망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