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는 올해 지역물가 인상률을 3%선에 묶어 둔다는 방침이다. 시내버스 요금이나 택시 요금, 수도요금 등 공공요금을 현행대로 묶어 물가 인상을 최대한 억제한다는 것이다.
도가 최근 한국은행 제주본부와 제주발전 연구원, 대학 및 농민단체 관계자 등이 참석하는 제주도경제관리대책 본부운영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이러한 도의 물가억제 의지가 어떻게 실현될지는 모른다.
그러나 도는 교통·수도 요금 이외에 문화시설 입장료, 주차요금, 쓰레기봉투 판매 요금, 보육시설 이용료, 공연관람료, 항만하역요금, 고교납입금 등의 동결도 결정하는 등 강도 높은 물가인상 행보를 보이고 있다. 그만큼 물가인상억제의 진정성이 엿보인다.
서민경제의 안정과 도민들의 물가불안 심리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지를 읽을 수가 있다. 아무리 그렇더라도 제주지역의 물가는 타시도의 물가와 연동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도 물가당국의 물가인상억제 의지에 관계없이 언제나 변할 수 있는 가변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뭍 나들이 도민이나 관광객이 대부분 이용하는 항공요금, 거의 타시도 반입품에 의존하는 공산품이나 기름 값, 여타 입·출입 상품의 물류비 변동이 최대 변수다. 그러기에 제주의 물가는 도내 물가인상 요인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거시적 안목에서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항공요금 등 연륙 교통요금의 영향을 어떻게 조정하고 조율 할 수 있느냐에 따라 제주물가 인상억제 효과여부가 판가름 날것이다. 그만큼 항공요금과 관련한 도 물가 당국의 지혜로운 접근이 주요변수가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도 물가당국이 져야 할 짐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