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지방선거가 아직도 86일이나 남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벌써부터 선거사범들이 준동(蠢動)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고발 등에 의해 수사 중인 선거사범들이 이미 여러 건이라는 얘기다. 물론 내사 단계인 것도 있다. 아직은 선거가 과열 될 시기가 아니다.
자천타천(自薦他薦)의 각종 후보군들이 이리 뛰고 저리 뛰고 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자기도취(自己陶醉)일 뿐이지 주요 정당들은 미처 공천자조차 내 놓지 않은 상태다. 그리고 그 많은 후보군들의 속셈이 어디 있는지 측근조차 가늠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단계인데도 선거사범들이 꿈틀대는 것은 올해 6·2지방선거의 과열을 예고하는 징후인 것 같다.
제주도선관위도 이점을 우려했던지 최근 기자간담회 자료를 내고 선거관련 금품-향응제공을 매우 경계하고 있다. 선관위는 이 자료에서 선거와 관련, 정치인으로부터 물품 및 음식물을 받거나 각종 모임 시 향응을 접대 받을 경우 최고 30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됨을 명심, 주의를 촉구하고 있다.
특히 선관위는 선거관련 위법행위를 신고한 도민에게는 최고 5억 원의 포상금을 지급하게 된다는 점도 강조하면서 공명선거를 위한 도민들의 고발정신도 기대 했다. 그렇다. 사실 선거사범을 뿌리 뽑는 데는 선관위나 검찰, 그리고 경찰력만으로는 부족하다. 도민들의 금품-향응 거부운동은 물론, 부정행위에 대한 도민들의 고발정신이 필요하다.
선거사범 발본(拔本)에 도민들이 한 축(軸)이 되어달라는 바람이다. 불법에 대한 고발은 정의를 위한 올바름이지 피해야할 잘못이 아니다. 또한 그것은 어쩌면 당국의 단속보다도 더 큰 효과를 거둘지도 모른다. 6·2지방선거 혼탁을 도민들이 막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