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토착비리 수사가 확대되고 있다. 경찰은 그동안 중·하위직 공직자에 대한 비리수사 범위를 넓혀 고위직으로 방향을 틀고 있다고 한다. 일반 행정분야 뿐 아니라 도의회와 도교육청까지 전방위로 수사가 확대되고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 수사 방향이나 수사 상황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지만 전방위 공직에 대한 강도 높은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는 인상은 지울 수가 없다. 곳곳에서 그런 느낌이 감지되고 있어서다. 공직을 이용한 토착비리는 밝혀내고 발본색원해야 한다.
공직기강을 위해서나 공직의 청렴성 확보를 위해서도 필요한 조치다. 그러나 실체 없는 공직비리 수사로 공직사회가 비리집단으로 매도되거나 선의의 공직자들의 사기에 악영향을 준다면 이는 얻는 것보다 잃은 것이 많을 수밖에 없다.
뭔가 큰 것이 있는 듯 토착비리 수사를 한다고 큰 소리를 쳐놓고 수사결과물이 잔챙이 가지치기 수준이거나 유야무야 됐을 때의 부작용을 말함이다. 특히 오는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다.
이번 경찰의 공직비리 수사가 자칫 공직출마희망자들의 흠집 내기 자료로 활용된다면 큰일이다. 경찰의 공직비리 수사와 보안에 더욱 철저를 기해야 할 이유다.
심증만을 가지고 사실인양 수사내용을 흘리거나 확증 없이 비리문제를 수사기술 상 침소봉대함으로써 각종 의혹이 부풀려 진다면 이에 대한 부작용도 만만치 않을 것이다. 선거를 앞둔 공직비리 수사는 그래서 신중에 신중을 기해도 뒷말이 많은 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