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자는 요구가 또 나왔다. 도의회에서다.
“현대사 최대 비극인 4·3의 불행했던 역사를 가슴에 새겨 이 같은 무참한 사건이 다시는 지구상에 없도록 역사의 교훈으로 삼고 억울하게 희생됐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제주 4·3은 국가기념일로 지정해야 한다”는 주장인 것이다.
이러한 ‘제주4·3국가기념일 지정’ 주장은 지난 2003년 ‘4·3중앙위원회’가 정부에 건의했던 바도 있다.
‘4·3특별법’이 제정된 후 정부에 4·3문제 해결을 위한 7대 건의사항을 하면서 요구했었다.
그러나 정부는 아직까지도 이에 대해 미적거리고 있다.
‘제주4·3’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될 경우 다른 지방의 유사사건에 대해서도 국가기념일 지정요구가 잇따를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그러나 정부의 ‘유사사건 기념일’운운은 아직까지도 정부가 제주4·3에 대한 실체적 진실에 접근하지 못한 무지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비판이 많다.
정부의 공권력에 의해 수 만 명의 양민이 무자비하게 희생된 사건이 어디에 있었단 말인가.
섬전체가 초토화 되고 도민전체를 이념의 사슬에 묶어 반세기 넘게 침묵을 강요했던 정부가 어디 있었는가.
60년 넘게 4·3의 한으로 멍든 가슴을 안고 신음속에 살아야 하는 나라가 어디 있는가.
제주4·3을 다른 지방의 비슷한 사건으로 몰고 가려는 정부의 시각은 그래서 옳지 않다.
그러기에 4·3 62주년을 앞두고 도의회와 사회일각에서 제기하는 ‘4·3 기념일 지정’은 제주도민의 촉구 이전에 정부가 나서야 할 일이다.
오는 4월3일, ‘4·3 62주년’에는 이 같은 도민의 염원이 관철돼 구천을 헤매는 ‘4·3 원혼’들에 조그만 해원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 간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