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실시되고 있는 지역농협조합장선거가 과열 혼탁 양상을 보이고 있다.
금품살포, 직위보장 약속 등 각종 루머까지 난무하고 있다.
실제로 선거관리위원회는 기부행위 혐의로 모 농협조합장 선거에 출마한 후보를 검찰에 고발했다.
이와 함께 당선 후 특정직을 제공받기로 약속받은 조합원도 검찰에 고발됐다.
이 같은 지역농협 조합장 선거의 과열혼탁 양상은 1월과 2월 사이 조합장 선거가 도내 전체 농협조합의 절반을 넘은 13곳에서 치렀거나 진행되고 있어 오는 6월2일 지방선거와 맞물려 더욱 기승을 부릴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지역별 도의원 선거 출마 희망자나 도지사 출마 희망자와 그 지지 세력들과 직간접으로 연결돼 득표공조체제가 이뤄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일반적 시각이다.
사실 어느 후보는 어느 도의원 출마예상자와, 또 누구는 어느 도지사 출마 예상자 측과 선이 닿았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떠돌고 있다.
특정 농협조합장후보 지지는 향후 도의원이나 도지사 출마희망자들로서는 선뜻 내키지 않는 아킬레스건일 수가 있다.
특정 후보 지지는 그 반대세력의 반대 표적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도의원이나 도지사 출마 예상자들과 지역농협조합장 출마자들의 연결고리가 노출되고 화제가 되고 있는 것은 표가 급한 서로의 필요성에서 암암리에 교류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농민을 위한 농협조합장 선거가 지방정치와 야합하여 과열되고 혼탁 된다면 오는 6월의 공정하고 깨끗한 지방선거는 물 건너간 것이나 다름없다.
불법겾뭉?혼탁 선거에 대한 강력한 철퇴가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