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리 채이고 저리 뜯기고 제주도가 약한 지역세의 설움을 톡톡히 받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다 뭐다 하면서 정부가 제주를 특별하게 대우해주는 듯 시늉은 하면서도 실제로는 제주를 홀대하고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혁신도시 이전 기관 배치만 봐서도 그렇다.
정부는 공무원 연금관리공단과 전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을 제주에 이전하기로 했었다.
이들 두 기관은 직원 수 규모로는 제주이전 기관 중 가장 큰 조직이다. 공무원 연금관리공단은 340명, 한국정보문화 진흥원을 140명 규모다.
그런데 공무원 연금관리공단인 경우 직권 340명 중 70여명 이상이 서울에 잔류하는 등으로 규모를 줄여 벌였다.
한국정보화진흥원으로 간판을 갈아 단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은 제주이전이 불투명하다. 대구 쪽으로 이전될 것이라는 말이 나돌고 있다. 그만큼 지역세에서 밀려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제주도는 이와 관련해서 한국정보화 진흥원의 제주이전이 어렵다면 대구혁신도시로 이전이 계획됐던 ‘교육과학기술연수원’을 제주혁신도시로 보내 줄 것을 국토해양부에 조정을 요청해 놓고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성사가 불투명하다. 대구시가 이에 동의하지 않고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구가 이것저것 다 챙기겠다는 욕심을 부리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제주도는 혁신도시 이전 기관과 관련해서 이전 기관의 규모가 축소되거나 계획됐던 이전 기관을 타 시도에 빼앗기는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나마 정부가 승인한 제주혁신도시 이전 기관도 직원 수로만 봤을 때는 생색내기 수준에 그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제주도민들이 상대적으로 차별을 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 이유다.
그래서 현재까지 이전 지역을 결정하지 못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한국정보화 진흥원은 제주로 이전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도민의 목소리가 높다.
그래야 최소한 정부가 지역세를 따지는 지역차별 논란에서 벗어날 수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