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피부건조증.
피부건조증이 생길 경우 피부표면이 거칠어지고, 탄력이 떨어져 미관상 소위 <할머니 손>이 돼 버린다.
또한 가려움증까지 동반할 수도 있다.
이 증상이 심할 경우 피부색이 붉어지거나 피부가 갈라지는 등 생활에 피해를 주기도 한다.
정상적인 각질층에는 수분을 15-20%정도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 수분 함유율이 10% 이내로 떨어질 경우 피부건조증에 걸리기 쉽다.
피부건조증을 유발하는 주요인자는 낮은 습도와 추운 날씨 등 기후조건과 난방기 등에 의한 생활환경, 과도한 목욕과 세안 등이다. 또한 노화나 아토피 피부염, 건선, 만선 신부전증 등 병적 요인도 피부건조증을 일으키는 것을 알려져 있다.
이런 피부건조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각질층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다.
잦은 세안을 피하고, 적절한 보습제를 사용하는 게 중요한다. 보습제는 하루에 두 번 정도 발라주는 게 좋다.
병적인 요인으로 피부건조증이 생긴다면 원인질환을 찾아 치료해야 한다.
비누의 선택도 중요하다.
피부표면은 약산성을 유지하고 있다. 정상적인 피부는 pH 회복력이 있어 비누를 사용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정상적인 상태로 되돌아오지만 피부건조증에 걸리게 되면 수분의 유출을 막고 유해물질 침입을 차단해 주는 장벽기능과 pH 회복능력이 망가진 상태여서 알칼리성 비누의 사용은 자제해야 한다.
실내온도는 18도, 습도는 40-60%를 유지해 주고, 몸에 꽉끼는 옷이나 마찰이 심한 옷 등은 가급적 입지 않은 게 좋다.
또한 가도한 실내기 사용으로 인한 건조한 환경도 피부건조증의 한 요인인 만큼 오염된 실내공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환기시켜 주는 것도 겨울에 피부를 건강하게 지킬 수 있는 한 방법이다.
겨울철 피부건조증, 낮은 습도ㆍ잦은 목욕 등이 원인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