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산 감귤 유통망에 구멍이 뚫렸다. 큰 구멍이다. 이 때문에 소비시장에서의 감귤 가격은 계속 떨어지고 있다. 상품성이 낮은 저 품질 비 상품 감귤이 대도시 소비시장을 교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처럼 소비시장에서 제주 감귤의 이미지를 떨어뜨리고 가격형성에 영향을 주는 불량감귤 부정유통에 일부 작목반이나 일부 영농 법인들이 직간접으로 관여하고 있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는 것이다.
비상품 감귤출하나 유통을 막고 이를 고발해야 할 주체들이 오히려 앞장서 제주감귤의 이미지를 더럽히고 가격 폭락의 빌미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비상품 또는 질 낮은 불량 귤의 부정유통은 자신들의 출하한 감귤의 가격을 떨어뜨리는 데 그치지 않고 전체 제주감귤의 가격을 동반 하락 시킨다는 데서 그냥 넘어갈 수 없는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 도가 부정유통 단속을 벌인 결과 528건의 부정행위가 적발됐다. 강제 착색, 규격 외 감귤의 부정유통 등 감귤 가격 형성에 민감하게 작용할 수 있는 부정행위들이었다.
그런데 이들 부정 유통행위자 중 농감협의 일부 작목반이 42건, 영농 법인이 29건을 차지했다. 작목반이나 영농 법인이 제살을 깎아 먹는 데 앞장을 선 것이다. “나만 살겠다”는 빗나간 욕심이 결국 ‘너도 죽고 나도 죽게 만들어 버린 것’이다.
그래서 이 같은 부정 농감협 작목반이나 영농 법인에 대한 강력한 제재가 뒤따라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지원된 정책자금 회수나 각종 혜택을 거둬들이고 작목반 또는 영농법인 취소 등 제재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