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했던 일이 현실로 다가서고 있다.
올해 산 감귤의 소비지역 가격이 계속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감귤가격 하락은 올해 감귤이 과잉생산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계속 지적돼온 문제다.
그래서 농정당국은 철저한 품질 관리로 인한 고품질 생산, 비규격 비상품 감귤의 철저한 시장 유통 차단 등 비상한 감귤가격 지지대책을 마련, 추진해 왔었다.
또 당국은 이 같은 대책에 앞서 감귤생산량 조절을 위한 감귤원 간벌과 폐원, 감귤열매 따기 등에도 진력해 왔다.
도는 이 같은 감귤 가격 안정화 대책 등 감귤산업 정책에 한해 3000억원의 예산을 쏟아 부었다.
그러나 이 같은 농정당국의 정성과 노력이 허사가 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 감귤 유통 및 가격 동향을 보면 그렇다.
비상품 감귤 유통행위가 기승을 부리고 이런 이유 등으로 감귤가격은 연일 하락행진을 하고 있어서다.
앞으로 유통조절이 안돼 홍수 출하가 될 경우는 사상 최대 감귤가격 폭락 사태가 올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래서 25일 도의회 농수축.지식산업 위원회의 도에 대한 행정사무 감사에서는 도의 감귤 생산량 예측조사 부실, 감귤 감산 정책 실패 등에 대한 거친 지적이 계속됐다.
제주도의 잘못된 감귤 정책이 감귤산업 뿐만 아니라 여타 작물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아무튼 앞으로 예상되는 감귤가격 폭락 사태에 대비한 비상품 감귤 출하 차단, 철저한 유통조절 등 비상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소비 시장동향을 제대로 읽고 유통량을 조절하는 유통조절만 제대로 해도 어느 정도 가격지지를 이끌어 낼 수도 있을 것이다.
문제는 제주감귤 이미지 훼손 주범이나 다름없는 비상품 불량 감귤 시장 교란을 어떻게 막느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