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단속 못 미치는 비상품 유통
[사설] 단속 못 미치는 비상품 유통
  • 제주타임스
  • 승인 2009.11.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감귤이 큰일이다. 맛은 좋은 데 팔리지가 않는다”. 서울시내 재래시장의 한 청과상의 푸념이다. 올해 제주감귤이 당도가 높고 상품성은 좋은데도 소비자들로부터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뒷받침하듯 14일 새벽, 서울 가락동 농산물 공판장에서 경매된 10kg들이 노지 감귤 한 상자 평균 가격은 7800원이었다. 올해 감귤 경매 후 최저가격을 기록한 것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날 경매가격 1만2900원보다 5000원가량 폭락한 가격이다. 대풍으로 유통난을 겪었던 지난 2007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왜 이처럼 출하초기부터 가격이 폭락하고 있는가. 과잉생산과 전반적 과일 소비부진을 이야기 하고 있지만 설득력이 약하다. 비상품 감귤의 소비시장 교란을 원인으로 꼽는 이들이 많다. 유통이 금지된 비상품 감귤을 정상품으로 속여 팔거나 정상품과 섞어 팔아 전체 제주감귤의 이지지를 흐리게 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실제 서울 등 대도시 재래시장에서는 상품과 비상품을 섞어 팔고 중량까지 속여 파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 가락동 공판장 중도매인의 전언이다. 중도매인 연합회 관계자는 “불로초 등 브랜드 감귤은 3만 원 이상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했다. 감귤 이미지가 가격형성에 중요한 변수임을 일깨워주는 대목이다.

이는 감귤유통명령제 발령 등 제도적 비상품 출하 차단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전국에 파견된 감귤유통조절명령 이해 점검반의 단속활동이 겉돌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단속반은 법적으로 비상품 유통이 원천 차단되는 공영도매시장 위주로 단속활동을 벌임으로써 실제 비상품 유통이 활발한 유사도매 시장 단속은 외면하고 있다는 것이다. 시장 탓만 할 일이 아니다. 비상품 유통을 철저히 차단하는 유통조절이 올해 감귤가격 형성의 최대 변수다. 비상품 유통 사각지대를 허물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