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사회가 부패할수록 감사기관 활동도 활발해야 한다.
그리고 꾸준히 또 열심히 감사기법을 연구-연마해 나가야 한다.
날이 갈수록 지능화해 가는 비리 수법을 앞서가지는 못할 망정 따라잡기는 해야 한다는 말이다.
제주도 감사위가 과연 그렇게 하고 있는지 우리는 의심하지 않을 수가 없다.
규모 큰 기관도 아닌 서귀포시 1개 읍사무소에서, 그것도 2년에 걸친 장기간 동안 하위직 공무원이 기초생활 수급자 25명에게 지급될 보조금 4000만원을 횡령한 혐의가 있음에도 이를 밝혀내지 못했다면 이것만으로도 충분히 제주도 감사위원회는 그 기능과 능력을 의심 받을 만하다.
특히 한심한 것은 도감사위가 올해에만 두 번씩이나 서귀포시에 대한 감사를 실시했으나 이 거액의 횡령 내용을 놓쳤다는 점이다.
첫 감사는 올해 2월말부터 3월 중순까지였다. 기초생활 및 사회복지 보조금에 대한 전면적인 특별감사였다. 두 번째는 10월 21일부터 29일까지 실시한 종합감사였다.
이 두 번의 중요한 감사에서 이 횡령사건은 모두 놓쳤고 결국 한 도의원의 폭로로 표면화 됐다.
도감사위에 대한 신뢰와 자존심이 크게 망가져버리는 대목이다.
그도 그럴 것이 기초수급 대상자 25명에게 지급될 보조금을 2년에 걸쳐 4000만원을 빼 먹었다면 현지실사만 했더라도 쉽게 적발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게 어렵다면 전화를 통한 확인 실사에 의해서도 밝혀 낼 수 있었으리라 생각된다.
감사위는 이제부터라도 정신 차려 부패해 가는 제주도 공직사회를 바로 잡는데 혼신의 힘을 다해 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