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로 목장용지 15.5㎢ 사라져...평균기온 1도 하락
통계로 본 제주의 10년 전과 오늘 ⑴ 면적 인구 기후
지난 10년 사이 제주도의 모습은 얼마나 변했을까.
통계청의 자료를 통해 제주의 어제와 오늘을 6회에 걸쳐 살펴본다.
10년간의 변화모습은 1998년과 2008년 자료를 비교했으며, 2008년 자료가 아직 발표되지 않은 경우에는 1997년과 2007년을 비교했다. <편집자 주>
지난 10년 동안 제주지역은 타시도에서 유입되는 인구보다 유출되는 인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의 인구는 10년 전인 1998년 53만4008명에서 2008년 56만618명으로 2만6610명(5.0%) 증가했다. 여자(4.2%)에 비해 남자(5.8%)의 인구증가율이 1.6%p 높게 나타났다.
세대수는 작년말 21만4681세대로 10년전에 비해 26.0%(4만4343가구) 늘어 급격한 핵가족화 등으로 인해 가구내 평균 가구원 수가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지난 10년간 도내 14세 이하 인구와 15~64세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2.4%p, 1.8%p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면서 4.2%p 늘어난 11.5%를 차지했다.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지난 1998년 이미 7%를 넘어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데 이어 '고령 사회'로 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주민등록상 인구는 2003년 이후 내리 6년째 전출 초과를 기록, 1998년 이후 10년 동안 총 9140명의 도내 인구가 타시도로 순유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10년 전에 비해 혼인건수는 19.1%(-814건), 이혼건수는 11.6%(-163건) 줄었다. 2003년 이후 조이혼율 감소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출생아 수가 현저히 줄고 있는 가운데 성비는 10년 전에 비해 6.7%p 개선된 106.5로 나타났다. 전년에 비해 0.8%p 증가, 2년 연속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됐다.
지난 10년간 제주도의 총면적은 2.6㎢(0.1%) 증가했다. 지목별로는 대지 면적이 24.5% 늘어 전국 평균 대지증가율 17.4%보다 7.1%p 높게 나타났다.
반면 목장용지는 매년 전국 평균 증가추세에도 꾸준한 개발 또는 개간을 목적으로 용도가 변경돼 10년 전에 비해 15.5㎢(- 8.5%) 감소했다.
10년 전에 비해 평균기온은 1.0도, 평균 최고.최저기온도 각각 1.0도, 0.7도 내리는 등 전체적으로 떨어졌다.
2008년 연간 강수량은 1308.8㎜로 이전 10년 간(1998~2007)의 연평균 강수량 1626.2㎜에 비해 317.4㎜(-19.5%) 적은 강수량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