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관광객 660만 이상 목표…선거 겨냥 과욕(?)
여행시장 변수 많아 해외여행 수요 등 예측 분석해야
제주도가 내년 국내외 관광객 유치 목표치를 올해보다 10% 증가한 660만명으로 잠정 설정해 시장 예측과 분석없이 수치에만 목을 매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여행시장 변수 많아 해외여행 수요 등 예측 분석해야
올해 목표인 600만명을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최근 증가세를 감안해, 최대 650만명까지 가능하다는 전망까지 나오자 '내년 700만명 유치 계획설'까지 들먹거리고 있어 지방선거를 겨냥해 무리한 목표치를 설정하려 한다는 비판도 있다.
10월 말 현재 관광객은 550만4000명으로 지난해보다 11.7% 증가했다. 올해를 두달 남겨 놓고 목표치 600만명의 91.7%를 달성했다.
이 같은 추세라면 연말 600만명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제주도는 내년 유치 목표를 올해보다 10% 상향 조정할 방침이지만, 600만명을 웃돌 경우 내년 관광객 유치목표치도 상향 조정할 계획이다.
도는 스포츠관광객 100만 시대를 열겠다는 목표로 골프관광객 73만명, 스포츠대회 유치를 통해 20만명, 사계절전지훈련팀 7만명을 유치하려는 구상이다.
하지만 올해보다는 관광객 유치 목표치를 높게 잡아야 한다는 실적주의와 지나친 낙관론은 경계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올해는 신종플루와 경기 침체로 해외여행 수요가 급감하는 등 외부요인에 의한 호재가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여행 수요 결정의 최대 변수인 경기와 환율에 대한 기대 심리로 지난 2년간 최악이었던 해외여행 수요가 다시 고개를 들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국외여행 전문업계는 "올해 8월말~9월초를 바닥으로 예약자 순증 수치가 지속적으로 개선 중이어서 여행 수요가 최악의 국면을 통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환율과 경기라는 여행 수요 결정의 최대 변수가 여행주들에 우호적인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고, 과거 2년간 경기 침체와 신종 플루로 여행 대기 수요가 풍부해 내년에는 큰 폭의 영업실적 개선이 예상된다"고 분석하고 있다.
저비용항공사들이 저렴한 요금을 내세우며 내년부터 국제선에 속속 취항할 예정이어서 값싼 해외여행 시대가 도래한 것도 제주로서는 악재다.
더욱이 저비용항공사들의 국제선 취항 경쟁으로 제주기점 공급 좌석이 줄어 좌석난이 되풀이 될 우려도 높다.
골프관광객도 비수도권 골프장들의 가격인하 경쟁에다 해외 골프관광이 다시 고개를 들 것으로 보여 경쟁력이 흔들리고 있다.
이에 따라 내년 국내외 여행 시장 동향을 예측,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단순히 수치 상으로만 목표를 높게 잡기 보다는 질적 성장을 이끌어 내는 전략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올해 외부요인에 의해 호황을 누린 것도 사실이지만, 목표치란게 기준 연도보다 높게 책정할 수 밖에 없다"며 "다음달 제주발전연구원과 제주관광공사, 제주도관광협회 등이 참여하는 관광진흥협의회에서 확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