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를 기회로'
'위기를 기회로'
  • 한경훈 기자
  • 승인 2004.11.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단계 도약위한 노력 전개

폐사 및 병든 넙치 유통에 이어 일본 수출용 항생제 검출 등 일명 ‘넙치파동’으로 된서리를 맞았던 제주도 양식업계. 그러나 이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 안전성 확보 등 제주도 양식산업을 한 단계 도약시키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심에 생산자단체인 해수어류양식수협이 있다.(편집자 주)

양식수협은 우선 총사업비 5억원을 들여 내년 상반기까지 자체 비료공장 건립을 추진 중이다. 비료공장이 완공될 경우 연간 생산량의 10%로 추정되는 폐사넙치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어 조합원들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은 물론, 조합의 새로운 수익사업으로 키워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협은 또 제주도와 함께 제주도국제자유도시특별법 개정을 추진, 불법유통 방지를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도 했다. 특별법상 현재 제주도로 반입되는 넙치에 대해서만 실시하고 있는 각종 질병검사를 외부로 반출되는 넙치로까지 확대한다는 것이다.

또한 각종 질병으로 폐사된 어류의 사체처리와 전염병 확산을 막고자 살 처분 등의 법적 근거를 마련한 ‘수산생물전염병예방법’ 제정을 건의하는 한편 내수나 수출 물량을 막론하고 양식수산물의 안전성 검사를 의무화하는 쪽으로 수산물품질관리법 개정을 요구해 놓고 있는 상태다.

이와 함께 수협과 제주도, 제주지방해양수산청 직원들은 제주산활어유통협의회의 협조 아래 제주항 6부두를 통해 반출되는 넙치에 대해 매일 관능검사를 실시, 제주산 넙치의 청정성을 알리고자 힘쓰고 있다.

이 밖에 항생제 검출로 중단 위기에 처했던 일본 넙치수출이 빠른 시일내에 재개될 수 있었던 것 역시 양식수협의 실질물량 체크로 가능해진 것이다.
이처럼 양식수협을 비롯해 행정 및 연구기관이 삼위일체가 돼 제주도 넙치양식계 살리기에 적극 나선 결과, 업계는 차츰 회복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들의 양식넙치에 대한 불신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는 양식넙치의 호적등본과 같은 ‘생산이력추적시스템’ 등의 제도 도입과 함께 이를 뿌리 내리기 위한 검사장비 및 인력 확충도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자료제공ㆍ제주도해수어류양식수협 designtimesp=23486>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