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년 이후 정부 투자액 전국 0.7%…수혜면적 전체 3%
지하수 과다개발이 원인…김우남 의원 "집중적 투자 필요"
제주지역의 지하수 보전 및 농업용수의 원활한 확보를 위해서는 농촌용수개발사업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하수 과다개발이 원인…김우남 의원 "집중적 투자 필요"
12일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 소속 민주당 김우남 의원(제주시 을)이 농어촌공사 국정감사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정부가 1995년 이후 지금까지 농촌용수개발을 위해 투자한 4조745억원 중 제주에 지원한 사업금액은 351억원으로 전체의 0.7%에 그쳤다.
특히 현재 추진 중인 성읍․옹포․함덕 등 3개지구의 용수개발사업이 마무리되는 시점(2019년)에도 사업추진에 따른 농경지 수혜면적은 총 1800ha로 제주지역 전체 경지면적의 3%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육지부의 경우 그 동안 지속적인 농촌용수개발로 현재 논 경지면적의 79.3%에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이뤄지는 것과 대조적이다.
그러나 제주의 전체 밭 경지면적(5만6609ha) 중 연중 농업용수 공급을 필요로 하는 면적은 99.9%로 파악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농촌용수개발이 원활치 못하면서 과도한 지하수 개발의 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도내 지하수 개발 이용량이 적정 개발량의 97%에 이르고 있는 가운데 개발량의 58%는 농축산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제주 서부지역의 경우 빈번한 가뭄으로 인한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과다하게 지하수를 취수, 지하수 수위 하강은 물론 해수침투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새로운 농업용수원에 확보에 대한 대안이 마련되지 않으면 제주 지하수 고갈과 함께 농업용수 공급에 심각한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김우남 의원은 이날 국정감사에서 “제주지역은 육지부와 달리 지금에서야 농업용수를 지하수에서 지표수 등으로 전환하는 시점”이라며 “지표수나 용천수 등을 대체 수자원으로 개발하는 제주형 농촌용수개발사업에 대한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