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Administration must change now-obsolete N.Korea policy
Lee Administration must change now-obsolete N.Korea policy
  • 제주타임스
  • 승인 2009.1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An important situational change in the North Korea nuclear issue has taken place over the past two days during the high-level meeting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Meeting with Chinese Prime Minister Wen Jiabao two days ago, Kim Jong-il, Commissioner of North Korea’s National Defense Commission said North Korea is prepared to accede to multilateral talks, including the six-party talks, as progress in bilateral North Korea-U.S. talks has continued.

The return to six-party talks is conditioned on the results of bilateral North Korea-U.S. talks, but Kim’s direct reference to the six-party talks, which North Korean authorities had declared dead on several occasions, seems to be a signal that North Korea will return to the path of dialogue. The statement also indicates that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might move from sanctions that began with last spring’s North Korean satellite launch and nuclear test towards dialogue.

Of course, even if dialogue begins, there are many mountains to cross. First,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North Korea will continue its push for bilateral talks, stressing that the starting point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s U.S. hostile policy towards North Korea. Moreover, even if North Korea agrees to multilateral talks, a tug-of-war will ensue between the relevant countries over whether the talks should be six-party, three-party (North Korea, U.S., China) or four-party (South Korea, North Korea, China, U.S.). It is also unclear whether results from North Korea-U.S. bilateral talks will draw North Korea back as a participant in multilateral talks. Despite these uncertain factors, it is fortunate that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have settled and the door for dialogue has opened.

The significance of this meeting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South Korea, is twofold, broadly speaking. First, with China agreeing to large-scale economic aid to North Korea,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have been rendered virtually powerless. With China, which accounted for over 70 percent of North Korean trade last year, pledging large-scale economic cooperation, pressuring North Korea through sanctions is nothing more than a joke.

The other point of significance is that the two nations have pledged to strengthen their friendship “for generations to come.” This means China will support the North Korean regime in the long-term. One could say a honeymoon era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has begun.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is greatly at fault for the fact that the situation has reached this point, since they have thoroughly blocked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Having secured Chinese political and economic support, North Korea’s voice in relations with South Korea and the U.S. will grow louder. Our government, however, says it will stick to pressuring North Korea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limit to which was clearly displayed here. It is not too late. It is time for the Lee administration to craft a new North Korea policy in line with the new changes.

북-중 합의로 한계 드러난 대북 압박정책 전환해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그제 원자바오 중국 총리를 만나 6자회담을 포함한 다자대화에 응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북-미 양자회담의 성과에 달려 있다’는 전제를 달긴 했지만, 북한 당국이 그동안 수차례 ‘사형선고’를 내린 6자회담을 김 위원장이 직접 언급한 것이다. 이는 북한이 대화노선으로 복귀하겠다는 신호로서, 북한 핵 문제에 대한 중대한 전기가 아닐 수 없다. 한반도 상황은 바야흐로 지난봄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와 핵실험을 계기로 조성된 제재 국면에서 대화 국면으로 넘어가고 있음을 예고하는 것이다.


물론 대화 국면이 열려도 넘어야 할 산은 많다. 우선, 북한은 북핵 문제의 출발이 미국의 대북 적대정책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북-미 양자회담을 통해 실질적으로 문제를 해결하자는 자세를 굽히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또 다자회담에 응하더라도 6자회담이냐, 북-미-중 3자냐, 남-북-미-중 4자냐를 놓고 관계국 사이에 줄다리기가 펼쳐질 수 있다. 북-미 회담이 어떤 성과를 올려야 북한이 다자회담에 복귀할 것인지도 미지수다. 그러나 어떤 경우라도, 한반도에서 긴장 대신 대화의 문이 열리게 된 것이니 다행스런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번 북-중 정상회담이 우리나라를 포함한 국제사회에 던지는 의미는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북한에 대한 중국의 대규모 경제원조 약속으로, 대북 제재가 사실상 효력을 잃었다는 것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북한 전체 무역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이 대규모 원조와 경제협력을 약속한 마당에, 제재를 통해 북한을 압박하자는 것은 말장난에 불과하다. 다른 하나는 두 나라가 우호관계를 ‘세세대대’로 이어가기로 한 점이다. 이는 중국이 북한의 체제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장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북한과 중국 사이에 ‘신밀월시대’가 도래했다고 할 만하다. 상황이 이렇게 된 데는 북한에 대한 압박 차원에서 남북 교류·협력을 철저하게 차단해온 이 정부의 탓도 크다.


중국의 정치·경제 지원을 확보한 북한은 앞으로 대남, 대미 관계에서 더욱 목소리를 높일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 정부는 한계가 확실하게 드러난 국제공조를 통한 압박정책을 여전히 고수하겠다는 자세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정부는 새로운 변화에 맞는 새로운 대북정책을 짜야 한다.

[한겨레 사설 10/6]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