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4ㆍ3재단, 민간체제 됐지만”
[사설] “4ㆍ3재단, 민간체제 됐지만”
  • 제주타임스
  • 승인 2009.1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동안 ‘4.3관련단체’ 내부 갈등으로 제자리를 찾지 못했던 ‘제주 4.3 평화재단’이 민간체제로 전환됐다.
‘4.3 평화재단’은 재단 출범 후 이사장 선임 등 이사회 구성을 놓고 갈등을 보여 제주도 행정부지사가 이사장을 겸직하는 관주도 체제로 운영되어 왔다.

그러나 이 같은 관주도로 4.3관련 단체 간 갈등과 분열이 더 심화됐으며 ‘평화와 화해와 상생’이라는 4.3재단 설립 취지를 무색케 해 왔다. 이에 따른 도민의 4.3재단에 대한 불신만 키워왔다.

이로 인해 도민 화합과 상생을 기저로 한 4.3재단 현안 사업추진은 흔들릴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막대한 예산을 들여 건립한 4.3평화공원 및 기념관 운영과 관리, 유족복지 기념사업, 추가진상조사 사업 등의 추진은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8일 ‘4.3평화재단 이사회’에서 장정언 전 제주도의회 의장을 이사장으로 선출하고 민간 이사장 체제를 출범시킨 것이다.

상임이사와 도의회 추천 이사도 선임했다. 이에 따라 그동안 불목과 대립을 보였던 4.3관련단체 대표들도 모두 민간체제 출범에 동의하고 합류했다.

그러나 새로운 민간이사장 체제의 ‘4.3 재단’ 앞길은 순탄치만은 않을 것이다. 평화공원 및 기념관 관리 운영에는 막대한 예산이 예상되고 이를 확보할 마땅한 수단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전액 국고지원이 필요한 부분이다. 그러기에 국고지원예산 확보 등 민간체제 재단의 역할은 그만큼 막중한 것이다. 4.3의 모든 관련단체가 새 민간 체제에 적극 협조하고 지원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