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고고학의 관점에서 본 한국고고학󰡑신간서 출판
구미고고학의 관점에서 본 한국고고학󰡑신간서 출판
  • 고안석
  • 승인 2009.09.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경택 교수 번역…한국고고학 문제 해결 노력 일환

도서출판 각에서 제주문화유산연구원 연구총서 󰡐구미고고학의 관점에서 본 한국고고학󰡑신간서가 출판됐다.

김경택 교수(한국전통문화학교 문화유적학과)가 번역한 이 책은 제주문화유산연구원의 재정지원으로 이루어진 번역 선집이다.

이 책은 제주문화유산연구원 연구총서 첫 번째 책으로, 모두 2부 12편의 영어논문을 번역해 실고 있다.

12편의 글중 7편이 구미고고학자들이 서구고고학의 관점에서 한국고고학을 논한 글이고, 각 장의 분문 뒤에서는 역자후기를 통해 내용을 요약하고 역자의 코멘트를 달아 이해를 도왔다.

제1부 󰡐구미고고학의 관점에서 본 한국고고학󰡑에서는 구미고고학자들에 의해 집필된 한국고고학 개설서를 소개하면서 그 의의와 한계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외에도 󰡐한반도 남부지방에서의 국가형성󰡑󰡐고대 한국에 있어서 족장사회․국가의 발생과 낙랑󰡑󰡐신대륙고고학과 한국고고학󰡑󰡐고고학적으로 본 고구려건국 이전의 환인-집안 지구의 문화사회성격󰡑등의 글을 실었다.

제2부 󰡐고고학 이론과 방법론󰡑에서는 계량고고학과 신고고학에 관한 논문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2장의 󰡐골든 마샬타운󰡑은 구어체로 이루어진 글로써, 고고학적 사조를 대표하는 네 사람의 대화 형식으로 고고학에 대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제3부 󰡐인류 최초의 국가:발생에서 멸망까지󰡑는 미국 노스웨스트 크리스천 대학 명예교수인 이송래 교수의 글을 수정해 실은 것이다.

이번 발간된 󰡐구미고고학의 관점에서 본 한국고고학󰡑은 한국고고학이 당면한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내․외적으로 동시에 찾으려는 노력의 일환이라 말 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