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발전연구원은 도정책 연구기관이다.
제주도의 정책개발 방향과 제주발전방안을 연구하여 도정추진에 참고하도록 하는 연구기관이다.
그래서 많은 전문연구인력을 배치하고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도정발전과 관련한 각종 용역도 여기에 의뢰한다. 그만큼 도정추진의 중요한 방향타다.
그러나 제주발전연구원의 역할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제주도감사위원회의 종합감사 결과를 봐서도 그렇다.
지난 7월 제주발전연구원에 대한 도 감사위원회의 종합감사 결과에서는 모두 18건의 지적사항이 적발됐다.
재정상 조치도 3건에 1482만원이었다.
용역사업업무처리 소홀, 연구원 조직관리 부적절, 인사업무처리 부적절, 직원 실적평가 소홀 등이 지적사항이었다.
여기에다 사회조사센터, 장수문화센터, 여성정책센터, 인적자원센터 등을 두고 있으나 이들 모두 제대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11개 과제에 특정연구원 한사람을 집중 참여시키거나 전공분야와 무관한 비전공자들에게 책임연구원을 맡기는 등 연구업무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기도 했다.
점수를 매긴다면 제주발전연구원의 관리운영 능력은 낙제점을 받을 것이다.
그러나 제주도가 매긴 2008년도 제주발전연구원의 경영평가 결과는 우수했다.
올 A학점을 받은 것이나 다름없다. 업무전반 평가결과 100점 만점에 92.8점을 받았기 때문이다.
21일 도가 밝힌 바, 기관장 리더십, 책임경영, 인사관리, 재정구조 건전화 등 경영분야가 37점 만점에 35점, 연구 분야는 50점 만점에 46.8점, 고객만족도는 13점 만점에 11점으로 모든 분야가 우수했다는 것이다.
감사위원회 평가와 도 자체평가가 이처럼 차이가 났다. 어느 쪽 평가가 맞는지 헷갈리지 않을 수 없다.
도의 평가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는 이유다. 평가의 신뢰성을 잃어버린 것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