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시는 해군기지가 들어서는 강정마을 일대에 향후 10년간 8696억원이 투입되는 ‘종합발전계획안 중간 용역’을 발표했다.
해군기지 건설이 강정마을 일부 주민들의 반대에 난항을 겪고 있지만 이번 서귀포시의 강정마을 일대 발전계획안은 이 주변 일대에 상당한 변화를 예고하는 것이다.
사실 이날 발표한 ‘민군복합형 관광미항 주면지역 종합발전 계획안’대로 이뤄질 경우 이 지역일대는 그야말로 상전벽해(桑田碧海)의 변화가 예상된다.
우선 인구 증가가 주목된다. 현재 대천동 인구 7000여명에서 해군과 해군가족 7500여명을 포함해 1만2000여명의 인구가 유입돼 인구 2만명 가까운 도시가 형성 될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연간 유동인구 60만명의 관광객이 다녀간다면 이로인해 500억원 이상의 소득증대도 기대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올해 기준 주민 1인당 총생상액 1480만원에서 2270만원으로 늘어난다는 것이다.
37만m의 해양복합리조트, 대형수중촬영 탱크, 연산호 생태체험관, 고대유적지 인공구조물고 가칭 강정중학교 설립과 관광문화 쇼핑거리 조성 등 소득창출 시설에 의한 소득창출 효과도 엄청날 것이라는 것이 서귀포시 측의 설명이다.
그러나 이 같은 서귀포시 측의 말처럼 현실이 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한 둘이 아니다.
장밋빛 꿈이 장밋빛 환상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우선 예산확보가 관건이다.
예산확보 담보없는 발전계획은 말 그대로 하나마나한 말장난 일 뿐이다.
다음은 격렬하게 해군기지 건설을 반대해온 이곳 일부 주민들을 어떻게 설득하고 마을 발전에 동참시키느냐는 과제가 남아있다.
현실적으로 해군기지 건설은 되돌릴 수 없는 활시위나 다름없다.
이미 활을 떠난 것이다. 물리적으로 없던 일로 하기에는 너무 늦어버렸다는 판단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반대 주민들 설득은 마을 발전과 주민들 삶의 질 향상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정부의 예산 지원 약속을 대화 고리로 삼아야 할 것이다.
도의 대중앙 예산 절충 능력이 주민설득의 필요조건이다. 도의 역할이 주목받은 이유다.